510 557

Characteristic of Chinese Style in Contemporary Men’s Jacket Design

Title
Characteristic of Chinese Style in Contemporary Men’s Jacket Design
Other Titles
현대 남성 재킷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 특성
Author
이연희
Keywords
중국전통남성복; 중국남성복복식; 중국풍디자인; 남성재킷; 가정학의류
Issue Date
2012-10
Publisher
한양대학교
Citation
한양대학교 석사 논문
Abstract
중국은 역사가 유구하고 오랜 전통을 지닌 소수민족이 함께하는 대국으로 최근 경제발전의 전력지위가 확립되면서 서방국가에서 점차적으로 중국 진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중국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중국복식도 점차 세계 곳곳에 널리 전파되고 있다. 중국의 전통 여성복인 치파오(旗袍)는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이 많이 응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남성복도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후반기에서 21세기의 각 시대별 남성복 패션의 변화과정과 중국 전통 남성복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고, 현대 남성복을 컬렉션의 중심으로 자료를 선정, 분석하여 현대 남성 재킷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의 특성 및 중국풍 남성복의 패션 동향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해외와 중국의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이미지를 좀 더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중국풍 남성복의 변화와 흐름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중국 전통 남성복인 고대의 5대 복식을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조사하여 중국의 개국시기와 문화대혁명시기의 남성복 변화과정을 선행연구를 참고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1978년 이후로부터 2000년대까지의 남성복의 변화과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의 중국 남성복 디자인 특징을 현대 남성복 컬렉션의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해외 디자이너 4인과 중국 디자이너 2인을 선정하여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며 해외와 중국의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중국의 역사, 문화, 복식 등과 관련된 전문서적이나 선행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여성복에 중국풍이 많이 나타난 디자이너 브랜드를 선정, 남성 재킷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패션정보 사이트인 퍼스트뷰 코리아에서 2001년 S/S컬렉션부터 2010년 F/W컬렉션까지의 해외 남성복 브랜드 4명, 각각 (Milan, P aris)중 돌체앤 가바나(Dolce & Gabbana), 조르지오 아르마니(Giogior Arman i), 요지 야마모토(Yohji Yamamoto), 루이비통(Louis Vuitton)으로 선정하여 사진자료를 수집했고 중국 패션정보 사이트인 요카, 아크미 패션 등에서 200 5년부터 2012년까지의 중국 남성복 브랜드 2명은 중국에서 남성복에 중국풍 디자인을 가장 많이 선보인 디자이너 증봉비(曾凤飞), 계문파(计文波)의 브랜드인 Fengfei.Z와 Lilanz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해외 컬렉션에서는 총 214개 사진자료와 중국컬렉션에서는 총 217개의 사진자료가 수집되였다. 수집한 자료의 디자인 특성을 형태의 실루엣, 디테일, 색채, 문양으로 나누어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실루엣 분석은 X형, Y형, H형으로, 디테일의 분석은 깃, 여밈, 소매 등으로 나누어서 분석을 하였다. 색채는 재킷에 분류된 사진들을 Photoshop(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컬러칩으로 정리하고 R, Y, G, B, P의 5가지의 주요 색상에 YR, GY, BG, PB, RP까지의 5가지 중간색을 삽입한 합계 10 색상을 유채색으로, Dark Gray, Black, Gray, White, Light Gr ay로 무채색을 분류하였다. 문양은 중국의 전통 문양에서의 식물문, 동물문, 기하문 등의 기준으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의 특성을 보면, 재킷 의 실루엣은 박스형의 스타일인 H형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H형의 실 루엣은 200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으로 많아졌음을 볼 수 있었다. 과거의 중국풍 남성복의 형태와 같이 어깨를 더 강조하고 직선적으로 표현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킷의 디테일을 살펴보면, 칼라는 중국풍인 차이니즈 칼라인 입령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현대적으로 세련되게 디자인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2005년도 이후에 더 많이 나타났다. 여밈은 일반적인 우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소매는 재킷 디자인에 따라 장수와 통수가 가장 많았다. 매듭 단추는 중국 디자이너들의 작품에 비하면 적게 나타났지만 일부에서는 비파문양, 삼귀 등의 매듭 단추를 볼 수 있었다. 색채는 유채색의 남색계열이 가장 많이 나타나 전반적으로 중국의 남성복에 나타난 색채와 비슷한 경향이었지만 전반적으로 어두운 톤들이 많이 나타났다. 재킷에 나타난 문양은 중국보다 적은 편이나 일부에서는 식물문의 대나무, 국화, 보상련, 련화와 동물문의 용, 호 등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중국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의 특성을 보면, 재킷 의 실루엣은 해외와 마찬가지로 H형의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중국 전 통 남성복의 형태와 길이가 긴 형태의 실루엣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재킷의 디테일에서는 예상했던 대로 중국전통 복식칼라인 차이니즈 칼라, 입령이 가 장 많이 나타났으며 과거의 딱딱한 형태로부터 현대에서는 세련되면서도 심 플하게 디자인을 재해석 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여밈에서는 우임이 가 장 많이 나타났지만 대금도 적지 않은 수치로 나타났다. 우임과 대금은 중국 전통 남성복의 탕쫭에 나타난 것과 비슷한 스타일로 현대에서 디자인을 선보였다. 소매는 장수와 통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브랜드 Lilanz에서는 착수도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매듭단추는 일자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심플한 형태의 디자인이 많았다. 색채는 유채색의 보라 계열색과 빨간색의 순 서로 많이 보였으며 중국 전통의 대표적인 오방색에 근접하게 나타났다. 재킷에 나타난 문양은 현대에서는 많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일부에서는 식물문, 기하문, 동물문의 용 등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해외와 중국의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중국풍 디자인에 대한 비교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재킷의 실루엣은 모두 H형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 났지만 해외 남성복 재킷의 실루엣이 중국 남성복 재킷의 실루엣보다 전체적 으로 슬림하게 디자인되었다. 재킷의 칼라는 모두 중국풍인 차이니즈 칼라 입령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아 중국의 중산복의 디테일의 이용이 빈번하 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고 또한 입령은 가장 중국풍을 쉽게 알릴수 있는 부분 적인 요소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해외 남성복에 나타난 디테일의 여밈은 우 임이 가장 많았지만 중국 남성복에 나타난 여밈은 우임과 대금 모두 볼 수 있 었다. 소매는 모두 장수와 통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지만 중국 브랜드 Lianz에서는 착수 형태의 스타일도 많았다. 해외의 남성복 재킷에 나타난 매듭단추는 비파문양, 삼귀 등 다양한 패턴을 볼 수 있었는데 오히려 중국의 남성복 재킷에 나타난 매듭단추는 일자 반뉴가 가장 많이 나타나 해외 남성복 재킷에 나타난 매듭단추보다 심플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색채는 해외와 중국 모두 유채색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해외는 남색계열을 많이 사용하였고 중국은 오방색에 가까운 보라나 빨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재킷에 나타난 문양은 해외와 중국에서 모두 적게 나타난 편이지만 해외 남성복 재킷의 문양은 식물문과 동물문이 일부로 나타났지만 중국 남성복 재킷의 문양은 식물문과 동물문, 기하문도 나타났다. 특히 동물문의 용은 해외와 중국에서 모두 볼 수 있었다. 용은 중국 전통 문양의 상징이여 해외나 중국에서 많이 응용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URI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974a1b665fb99c0ffe0bdc3ef48d41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7063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kk13.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