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 0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uthor
이서혜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1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박물관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특히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박물관에서의 유아 대상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목표, 내용, 방법 및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확대되기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유아교육기관과 박물관에서의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정규 교육 과정과 박물관과 같은 사회 교육기관에서의 물 관련 교육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였다. 둘째, 유아 대상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상시 운영되는 3 개의 박물관, ‘서울특별시수도박물관’, ‘서울하수도과학관’, ‘청계천박물관’ 을 선정하여 각 박물관 홈페이지 조사, 현장방문, 프로그램 관찰 및 프로그램 진행 강사와의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으며 하인(Hein)의 학습 유형을 이용하여 3개의 박물관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셋째, ‘서울하수도과학관’은 이 중 유일하게 ‘하수도’를 주제로 교육하는 기관이라 유아대상 물 관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 인솔 교사 및 프로그램 진행 강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이를 통해 유아 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유아대상 박물관 환경교육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는 단어, 이미지, 그림과 같은 상징을 통해 사고하는 시기이며 각인현상이 결정적인 이러한 시기에 환경교육을 받는 것은 환경에 대한 이해와 전 생애에 걸쳐 환경에 대한 실천적 태도를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환경교육 예를 들어 물과 관련된 환경교육은 정규 교육 현장 뿐 아니라 박물관과 같은 사회적 교육 기관에서의 체험적이고 경험적인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 유아교육 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환경교육은 교육부가 주관하는 ‘누리과정’ 커리큘럼을 사용하고 있으며, ‘물과 우리생활’ 주제 아래 소주제인 물의 특성, 이용, 오염 및 보호 등의 내용을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3개의 유아대상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 박물관 물 관련 교육 프로그램은 개인 프로그램 참여자 보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과 같은 단체 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박물관 프로그램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환경 프로그램의 연계성 및 상호보완성을 위한 두 기관간의 프로그램 개발, 진행, 및 효과성 진단 등을 위한 협력적 관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박물관 유아대상 환경 교육 프로그램 방안으로 1) 박물관 환경 교육 프로그램과 유치원·어린이집의 누리과정과의 협력적인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2) 유사 박물관 간 협력적, 상호 보완적 프로그램 개발 및 박물관 별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3) 지역 공공도서관과 같은 유사기관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환경교육과 효과의 극대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pproach, goals, contents, methods, and limitations of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in Korean museums to identify sustainable outreach programs. It examines and analyzes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particularly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between formal education programs in preschools or kindergartens and social education programs like those in museums. Second, three museum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terworks Museum', the 'Seoul Sewerage Science Museum', and the 'Cheong Gye Cheon Museum', were selected for the study because they offered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on a regular basis. The comparison was based on Hein's museum learning theory via websites, site visits, program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program lecturers. Third, the 'Seoul Sewerage Science Museum'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site for in depth interviews of kindergarten and preschool teachers who chaperoned children and of program lecturers since it was the only museum which covered sewerage issues. Fourth, through this, the key characteristics of museum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re drawn.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outcomes from the study. First, it is vital that children learn about environment education while they are in preschool or kindergarten because it lays the foundation for thei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issues which will have a lasting impact on their lives. For young children during this age group to comprehend these issues it is imperative that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utilize symbols such as letters, images, or pictures that easily imprints in their memory. Second, in addition to formal education programs,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like museums, are a great resource for learning environment issues, such as water-related issues, because they are locations for experimental and practical education. Third, environment education at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are following the 'Nuri' curriculum from the Korean Department of Education. The sub-fields include characteristics of water, water usage, pollution, and prevention, under the broader topic of 'water and our lives'. Fourth, while evaluating the three museums that offered water-related education programs, the consequent findings were that group participants from preschools and kindergartens were greater in number tha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 participants. However they are appeared to be a lack of partnerships between the preschools or kindergartens and the museums in the stages of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s. Fifth, in order to create an effective program, 1) the preschools or kindergartens' 'Nuuri' program and the museums programs should coordinate with one another 2) similar museums should specialize in different topics to create a holistic view of environment education 3) similar loc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libraries should work together to create sustainable environment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6813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27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MUSEUM EDUCATION(박물관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