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0

프란츠 슈베르트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론도 A장조》(D.438)의 음악적 특징 및 연주 해석에 관한 연구

Title
프란츠 슈베르트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론도 A장조》(D.438)의 음악적 특징 및 연주 해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usical Features and Performance Interpretation of Franz Peter Schubert's Rondo for Violin and Strings in A Major(D.438)
Author
황혜린
Alternative Author(s)
HyerinHwang
Advisor(s)
김응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Franz Peter Schubert's (1797-1828) Rondo for Violin and Strings in A Major(D.438). The piece was composed during Schubert's formative years and despite its rarity in the violin repertoire, the work hasn’t been performed enough with few albums published, and academic research on it is also lacking. This study provides an analytical overview and performance interpretation. In this thesis, first of all I examine the influence of Biedermeier culture, which was prevalent during the composition of Schubert's Rondo(D.438) along with that of classicism's music. And then, I provid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Finally, I examine the direction of its performanc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owing, articulation, dynamics and fingering of three published editions, alongside exploration of various interpretive possibilities. Additionally, I discuss topics such as tempo, rubato, and Eingang through major sound sources and audiovisual materials including Gidon Kremer (1947-), Pinchas Zukerman (1948-), and Edwin E.S. Kim (197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erformers with fundamental research data on Schubert's Rondo(D.438) and suggest various possibilities for performance interpretation.|본 논문은 프란츠 페터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의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론도 A장조》(D.438)를 분석한다. 해당 곡은 슈베르트의 초기에 작곡된 작품으로 그의 많지 않은 바이올린 작품 중에서도 출반된 음반이 몇 개 되지 않을 정도로 연주가 활발하지 않으며, 학술 연구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이 작품을 개관하는 동시에 연주 해석적 측면에서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슈베르트의 《론도》(D.438)가 작곡될 당시 유행하던 비더마이어(Biedermeier) 문화와 그 영향, 그리고 고전주의 음악으로부터의 영향을 중심으로 작품을 이해해 본다. 이후 작품의 구조를 개괄적으로 분석하며, 연주 해석적 접근을 통해 연주 방향을 고찰한다. 세 가지 출판된 판본을 비교·분석하여 보잉, 아티큘레이션, 악상, 운지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며, 다양한 해석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와 함께 기돈 크레머(Gidon Kremer, 1947-), 핀커스 주커만(Pinchas Zukerman, 1948-), 김응수(Edwin E.S. Kim, 1976-) 등 주요 음원과 시청각 자료를 통해 템포, 루바토, 아인강(Eingang) 등을 추가적으로 논한다. 본 논문은 《론도》(D.438)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 작품의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 다양한 연주 해석적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92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7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