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프란츠 슈베르트 《바이올린과 현을 위한 론도 A장조》(D.438)의 음악적 특징 및 연주 해석에 관한 연구 | 황혜린 |
2024 |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빈첸초 벨리니의 ˂여섯 개의 아리에트˃ (Sei Ariette) 작품 해설 | 황연 |
2024 | Program Annotation: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R. Schumann, G. Fauré, 정애련, R. Quilter 의 성악작품 해설 | 정대영 |
2024 | 토픽이론과 음악분석의 관계 | 유은성 |
2024 | 리스트의 피아노 작품에서 자연 주제의 작품에 대한 연구-《순례의 해》를 중심으로 | 원원 |
2024 | 슈베르트《아르페지오네 소나타, D.821》의 분석 및 연주법 제안 | 김태호 |
2024 | Program Annotation | 김지윤 |
2024 |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작곡 과정: 현악 사중주 작품 《TURN》에 대한 연구 | 김다은 |
2023 | 《오케스트라를 위한 서시》의 한글 기반 알고리즘 작곡기법 분석 연구 | 이용우 |
2023 | 베토벤 <호른 소나타 Op. 17, in F 장조> 분석연구 | 서예림 |
2023 | 관현악 합주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 길민우 |
2023 | 음악차용 연구 - 디에스 이레를 중심으로 | 한천천 |
2023 |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가단조, D.784>에 관한 연구 | 조현주 |
2023 | 샹송 포퓔레르: 음악, 정치, 그리고 구성된 민족 정체성 | 조미서 |
2023 | Program Annotation: 졸업연주 프로그램 중 F. Schubert, J. Ibert, 김순남, D. Shostakovich, M. I. Glinka 의 성악작품 해설 | 정재형 |
2023 | 베토벤 말년 양식에 관한 담론: 아도르노(T. W. Adorno)의 시각에서 바라보기 | 정수민 |
2023 | 음악과 프로그램의 연결성: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교향시 <죽음과 변용> 을 중심으로 | 심혜영 |
2023 | 졸업 연주 프로그램 연구 | 손수민 |
2022 | Program Annotation: 졸업연주 프로그램 중 G. F. Handel, R. Schumann, S. Rachmaninoff, E. Charles의 성악작품 해설 | 박경서 |
2022 |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변주곡 내림나단조, 작품번호 3』에 관한 분석 연구 | 노현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