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 0

여성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 암의 재발과 식이염증지수의 연관성

Title
여성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 암의 재발과 식이염증지수의 연관성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flammatory index and recurrence of papillary thyroid cancer in female patients
Author
이정윤
Alternative Author(s)
JungYoon Lee
Advisor(s)
박용순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갑상선암은 한국인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암으로 갑상선 유두암이 가장 흔한 형태이다. 갑상선암의 발생과 예후가 염증상태의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이 제시된 후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 결과는 아직 논란이 많다. 식이염증지수는 섭취한 영양소에 따른 개인의 염증상태를 반영하는 도구로 식이 염증 지수가 개인의 염증상태와 실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이 여러 논문을 통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 갑상선 유두암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암의 재발 여부에 따른 영양소와 식품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의 식이 염증 지수와 갑상선암의 재발간의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2022년 9월 사이에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갑상선 유두암인 여성 총 349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39명에서 재발을 확인하였으며 재발이 없는 군 310명, 재발이 있는 군 39명으로 대상자를 나눴다. 두 군의 혈액 생화학 검사결과, 영양소 섭취량, 식품군별 섭취량을 비교하였으며 식이염증지수의 매개변수 45개 중 25개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들의 하루 식사를 반영한 식이염증지수를 구했다. 갑상선암의 재발에는 전이로 인한 2차 수술, 원격 전이, 이차 원발암을 포함했다. 연구대상자들을 재발의 유무로 군을 나누어 일일 영양소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재발하지 않은 군이 재발한 군 보다 단백질 (P = 0.049), 비타민D (P < 0.001), 비타민E (P = 0.002), 리보플라빈 (P = 0.034), 니아신 (P < 0.001), 비타민B12 (P < 0.001), 판토텐산 (P = 0.022), 칼슘 (P = 0.027), 인 (P = 0.009), 철분 (P = 0.007), 아연 (P = 0.007), 셀레늄 (P = 0.022) 섭취량이 더 많았다. 일일 식품별 섭취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재발하지 않은 군이 재발한 군 보다 육류, 난류, 생선 및 해산물 (P = 0.001)의 섭취가 더 많았다. 식이염증지수를 기준으로 사분위 수로 나누어 콕스 생존분석을 통해 갑상선암의 재발과의 관계를 분석 한 결과 재발 전체 (P = 0.572), 2차 수술 (P = 0.477), 원격 전이 (P = 1.000), 이차 원발암 (P = 0.480)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여성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재발을 안한 환자군이 재발을 한 환자군 보다 어육류군 식품 섭취량이 높았지만 암의 재발과 식이 염증 지수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갑상선암과 염증의 관계에 대한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영양적인 요소가 매개, 조절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갑상선암의 재발과 식이 염증 지수의 관계를 검증할 대규모의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1950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