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0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Wheelchair Simulator with Disability Simulation on Improving Perception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Titl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Wheelchair Simulator with Disability Simulation on Improving Perception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Other Titles
장애인 체험을 이용한 가상현실 기반 휠체어 시뮬레이터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에 미치는 영향
Author
유성민
Alternative Author(s)
Sungmin Yoo
Advisor(s)
김광욱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인에 대한 여러 제도적 및 기술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향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편향을 줄이기 위해 장애인 체험 (Disability simula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장애인 체험은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표로 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접근법이다. 또한, 프로테우스 효과 (Proteus effect)와 높은 몰입감 및 임장감을 바탕으로 공감 기계 (Empathy machine)라고 불리는 가상 현실 (Virtual reality)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 세계에서의 장애인 체험 및 VR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들과 비교하여 VR 기반 휠체어 시뮬레이터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에 어떤 효용성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79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피험자 간 설계 (Between-subjects design)로 사용자 평가 (User study)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조건에서 장애인에 대한 편향 측면에서 체험 후에 유의한 인식 개선을 이루어 냈고, 명시적 편향과는 달리 암묵적 편향에서 현실 세계에서의 체험과 가상 세계에서의 체험이 동일한 수준의 감소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 또한, 경험 품질에 있어서 휠체어 시뮬레이터가 다른 인터페이스에 비해 높은 사용성과 높은 수준의 일체화 (embodiment)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가상 현실 기반 장애인 체험이 편향 감소 측면에서의 큰 잠재력을 확인했으며, 가상 현실 기반 휠체어 시뮬레이터의 효용성을 확인했다는 의의를 가진다.|Despite numerous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improvements targeted at People with Disabilities (PwD), negative biases towards PwD persist in society. To address this issue, we used a Disability Simulator (DS) in the current stud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virtual reality (VR) can act as an ‘empathy machine’, achieving the Proteus effect and a high degree of presence.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utility of self- produced VR-based wheelchair simulator for improving perceptions towards PwD comparing it with to real-world disability experiences and a range of common interfaces used for VR application. A user study was conducted with 79 participants using a between-subjects design. The results observed significant improving perception across all conditions. In contrast to explicit biases, there were similar levels of reduction observed in implicit bias between real-world and virtual experiences. Additionally, compared to other interfaces, the wheelchair simulator observed significant high usability and a high level of embodiment. This study confirms the substantial potential of VR-based DS in reducing bias and underscores the utility of a VR-based wheelchair simulator.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199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3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OMPUTER SCIENCE(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