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 0

웹소설 IP캐릭터의 특성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웹소설 IP캐릭터의 특성이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Web Novel IP Characteristics on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volvement and Curiosity in the Original
Author
유솜
Alternative Author(s)
LIU XU
Advisor(s)
안동근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eb2.0 시대의 도래로 미디어 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미디어의 영향력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전통 매체의 쇠약은 뉴미디어에 새로운 생기를 가져다. 따라서 새로운 영상물 마케팅 분야에 대해 탐색하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뉴미디어의 맥락에서 영상물 창작은 '뉴미디어 + 영상물'의 복합 특성을 나타내며 상호 작용은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다. 웹소설 IP 영상화이란 사용자가 온라인에 처음 발행하는 소설·애니메이션·게임등 원생문화기호를 문화자본의 견인 아래 드라마·영화·웹드라마 등 문화콘텐츠로 각색한 것을말한다. 중국은 2014 년 총 114 편의 온라인 문학 작품이 영화 판권을 구매했으며 2015년까지 'IP 영상화'의 전성기를 열었다. 이후 IP 로 만든 영상물이 계속 등장했고 IP 라는 용어도 영상업의 화두가 되었다. IP 는‘Intellectual Property’의약자로 본래 지적소유권을 가리킨다. 영화 산업에서 언급되는 IP 는 일반적으로 작품의 저작권을 말하며, 즉 문학, 영화, 게임 등 서로 다른 형태의 작품의 저작권을 가리킨다. 이들 IP 는 그 자체로 엄청난 팬덤을 갖고 있고 재편 과정에서 데이터 스타들이 가세해 IP 업계를 발전시켰다. 미디어 융합 환경에서, 웹소설은 가장 큰 IP 원천 중의 하나로, 다른 예술 형식과 창조적으로 융합되어, 예를 들면, 영상화 작품, 뮤지컬, 게임, 애니메이션 등이다. 그중에서도 범위가 가장 넓고 인기가 가장 높은 것이 웹소설 IP 영상화 작품이다. IP 의 원작 소설은 독자의 상상을 반영할 수 있고, 영상화는 상상 속에서 만나는 캐릭터와 서사, 배경 등을 바탕으로 이뤄진다. 독자들에게 인기를 끌며 성공한 웹소설을 대상으로 하면 다른 드라마에 비해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한다. 하지만 모든 웹소설이 영상화될 때 인기를 끄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웹소설의 영상화 과정에는 특정한 성공 요인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웹소설은 이미 인기 기반을 갖추고 있지만, 각색된 영상물에 대한 시청 의도를 어떻게 끌어낼지도 최근 영상 마케팅과 홍보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문제다. 본 연구는 가상 IP 캐릭터의 특성과 웹소설IP 영상화 작품의 시청동기가 시청자의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 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 과 Kenny(1986)의 3 단계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웹소설 IP 캐릭터의 특성(준 사회적 상호작 용, 유용성, 오락성은 원작 관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웹소설 IP 캐릭터의 특성(준 사회적 상호작용, 유용성, 오락성은 호기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작 관여도와 호기심은 지속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작 관여도와 호기심이 웹소설 IP 캐릭터의 특성과 지속시청의도의 영 향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웹소설 IP 캐릭터는 홍보수단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시청동기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원작에 충실하면서도 시청자들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충족시키고 기대를 확인시켜주는 것은 웹 소설 IP 영상물에 대한 지속시청의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웹소설 IP 영상화 작품의 미디어 전환과 확장을 활용하기 위한 이론적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58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2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