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 0

다회용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세척공정별 미생물제어 효과

Title
다회용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세척공정별 미생물제어 효과
Other Titles
Microbial Control Effect of Cleaning and Disinfection Process for the Safety of Reusable Cups
Author
손수희
Alternative Author(s)
Son, Soo Hee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COVID-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일회용기 사용이 증가하여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과 처리가 환경 문제를 야기하면서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일회용품 사용의 감소를 위해 다회용컵의 대여·수거·세척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불특정 다수가 사용하는 다회용컵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가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회용컵에 대한 세척․소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회용컵 세척 공정별, 작업장 환경, 세척 용수, 설비 및 도구, 작업자를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분석하였다. 위생지표세균으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오염도 평가와 병원성 미생물 6종(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hemorrhagic E.coli, Clostridium perfringens)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입고 공정에서 일반세균은 1차 검사와 3차 검사에서 각각 3.20 log CFU/100cm², 2.81 log CFU/100cm²로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은 불검출되었으나, 불림 공정에서 일반세균이 각각 2.80 log CFU/100cm², 4.83 log CFU/100cm², 3.15 log CFU/100cm²로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은 각각 1.18 log CFU/100cm², 2.86 log CFU/100cm², 2.53 log CFU/100cm² 검출되어 오염도가 증가하였다. 이후 소독 및 건조 공정에서는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모두 불검출되어 소독 및 건조 공정에서 미생물 제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검수 및 내포장 공정에서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모두 불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입고 공정부터 검수 및 내포장까지 모든 공정에서 불검출되었다. 이후 브러쉬 세척 공정과 거품 헹굼 공정에서 오염도가 감소하다가 소독 및 건조 공정 이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모두 불검출되어 미생물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병원성 미생물은 모든 공정에서 불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다회용컵의 오염 수준과 세척·소독 공정을 통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의 급격한 감소가 이루어지는 소독 및 건조 공정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위해 소독수 농도, 건조 온도, 건조 시간을 철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회용컵 세척 서비스가 확대되고 세척 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나 다회용컵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세척·소독 조건별 연구, 계절별 미생물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96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1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FOOD & NUTRITION(식품영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