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0

질 들뢰즈의 감각론을 기반으로 한 뮤직비디오의 영상디자인 연구-크리스 커닝햄 작품을 중심으로-

Title
질 들뢰즈의 감각론을 기반으로 한 뮤직비디오의 영상디자인 연구-크리스 커닝햄 작품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Music Video based on Logic of Sensation of Gilles Deleuze-Analysis of the work of Chris Cunningham-
Author
고은영
Keywords
Sensation; Music Video; Chris Cunningham
Issue Date
2006-08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 19, NO. 4, Page. 121-132
Abstract
이성중심의 서향철학사 속에서 ‘감각’은 ‘이성’의 하위개념으로 폄하되어왔다. 그러나 21세기 현대의 시각 환경은 ‘이성’ 중심의 인식론을 밀어내고, 그 자리에 ‘감성’ ‘감각’으로 재구성되고 있다. 특히 대중영상물들은 이러한 변화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고 또 선도하는 분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대중영상물들에서 ‘감각’에 대한 예술적, 미학적 의미를 고민한 흔적을 찾아내기는 쉽지 않다. 이는 오랜 역사를 거쳐 ‘감각’을 ‘이성’의 하위개념으로 인식하여 ‘감각’은 표피적인 것, 진짜가 아닌 것으로만 치부되어 온 탓 때문일 것이다.때문에 '감각‘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현대 철학가 질 들뢰즈의 감각론을 검토해 보고, 그 개념을 영상화하고 있는 크리스 커닝햄(Chris Cunningham)의 작품세계를 분석하는 것은 유의미한 일이다. 그가 제작한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의 뮤직비디오 3편을 분석한 결과 질 들뢰즈가 <감각의 논리>에서 제시하는 ‘기관 없는 신체’ ‘히스테리’ ‘디아그람’을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크리스 커닝햄을 포함해 최근에 발표된 ‘감각’을 주제로 한 영상작품들을 제작방법이나, 화면구성 등 표피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은 작가의 예술 철학을 간과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현대 감각론을 이해하고 그 실체에 대한 탐구와 영상작품들의 분석은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In the Western Philosophy that was centered on reason, sense has been belittled as a low level of conception under reason. However, the 21st century modern visual environment pushes away the epistemology centered on reason and puts 'sensuality' and 'sense' on its place. Especially, public films are one of the fields that rapidly reflect such changes and lead the changes. However, unfortunately,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efforts that reflect the artistic and aesthetic significance of sense from the public films. It is because that sense is considered superficial and somewhat not real, while recognizing sense as the low level of conception under reason over the long history. Given the fact, this study reviews the 〈Francis Bacon : the Logic of Sensation〉 by Gilles Deleuze, a modern philosopher who gives a new value on sense, and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works of Chris Cunningham who makes films with the concept of Gilles Deleuze. After we analyzed three music videos of Aphex Twin directed by Chris Cunningham, we can ascertain that the films are based on body without Oranges, hysteric, and diagram that are suggested from 〈Francis Bacon : the Logic of Sensation〉 by Gilles Deleuze. Analyzing recently released films centered on 'sense' in a superficial manner that includes production method or picture composition, including the films of Chris Cunningham, falls into the error of overlooking the director's aesthetics. Understanding the modern logic of sense that is newly developing, studying its substance, and analyzing the films will make a sacrifice of suggesting a new alternative.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0291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441
ISSN
1226-8046;2288-298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