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0

화면에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에 대한 감상자의 선호도 분석 - 무게감과 중요도 중심으로 -

Title
화면에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에 대한 감상자의 선호도 분석 - 무게감과 중요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Preference of an Appreciator for Aspects of Balance of Image on the Screen - Focused on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
Author
김성훈
Keywords
Aspects of Balance; Formal Balance; Informal Formal Balance; Semantic Differential; Weight; Status; 밸런스의 성질; 대칭 밸런스; 비대칭 밸런스; 의미분별법; 무게감; 중요도
Issue Date
2010-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6, NO. 2, Page. 145-156
Abstract
영상, 디자인 그리고 사진에서 이미지의 화면 위치 선정은 중요하다. 유사한 이미지라도 화면의 위치에 따라 감상자가 느끼는 무게감과 중요도는 다르며 이는 Rudolf Arnheim의 Art and Visual Perception과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의 밸런스 성질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화면에서 이미지의 위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 변화”의 후속 연구로써, 화면에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Aspects of Balance)에 대한 감상자의 선호도를 의미분별법(Semantic Differential) 이론을 적용하여 무게감과 중요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한 실험 하였다. 이를 위해 Rudolf Arnheim의 Art and Visual Perception과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에 서술한 5종류의 밸런스의 성질을 참조 수정하여 2개의 주 가설과 각 7개의 보조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5개의 이미지를 제작 한 후 실험자가 느끼는 무게감과 중요도 변화를 50명의 실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에 앞서 연구자는 10대부터 50대 각 10명씩 그리고 남성 5명과 여성 5명을 임의로 선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별로 무게감과 중요도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무게감에 대한 성별 선호도는 남․여 모두 ‘무겁다’의 선호도를 보였다. 둘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무게감에 대한 연령 선호도는 모든 연령에서 ‘무겁다’의 선호도를 보였다. 셋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중요도에 대한 성별 선호도는 남․여 모두 ‘중요한’의 선호도를 보였다. 넷째, 화면에서 5개의 이미지를 통해 느끼는 중요도에 대한 연령 선호도는 모든 연령에서 ‘중요한’의 선호도를 보였다. 다섯째, 모든 연령과 성별에서 무게감과 중요도에 대한 선호를 보였으나, 일정한 형태나 양식 또는 유형을 보이지는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유사한 이미지라도 화면의 위치에 따라 느끼는 무게감과 중요도에 대한 연령, 성별의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상, 사진에서 화면 위치와 연관된 이미지의 밸런스 성질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있어 본 연구가 기초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The position in the composition of a screen is important in images, design and photographs. An appreciator`s preference for sense of weight and status comes o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reen even in case of the similar image and the Rudolf Arnheim`s "Art and Visual Perception" and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 were mentioned in the aspects of balanc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s a follow-up one on "Change in User`s Sensibility Subsequent to the Change of Image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is research did an experiment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entering on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by applying Semantic Differential theory to an appreciator`s preference for Aspects of Balance of an image on the screen.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set up the two main hypotheses and their 7 subsidiary hypotheses respectively by referring to the 5 sorts of aspects of balance which were mentioned in Rudolf Arnheim`s "Art and Visual Perception" and "Introduction to Photography and other Graphic Technique", based on which this research made 5 images and did experiment on the change of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using 50 experimental objects. Prior to doing the experiment, this researcher randomly selected 10 people from their 10s to 50s respectively, and 5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too. On the basis of this, this research made an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by sex distinction and ag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felt through the 5 images on the screen by sex distinction, there appeared a unanimous preference for "being weighty." Second, as for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felt through the 5 imaged on the screen by age, there appeared a preference for "being weighty" from all ages. Third,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tatus felt through the 5 images on the screen by sex distinction,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the preference for "being important." Fourth,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tatus felt through the 5 images on the screen by age, all ages showed the preference for `being important.` Fifth, there appeared the preference for a sense of weight and status by all ages and sex distinction, but they hardly ever showed a certain form, mode or pattern. Thi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fact that an appreciator`s preference for sense of weight and status comes ou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reen even in case of the similar image. On the basis of this fact, this research hopes this research could be basic data in understanding and grasping the aspects of balance of an image in connection with the screen location in videos and photographie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1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4972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