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0

자전거-자동차 충돌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Title
자전거-자동차 충돌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Injury Severity in Bicycle-Car Collisions
Author
오철
Issue Date
2011-10
Publisher
대한교통학회
Citation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 65, NO. 10, Page. 252 - 257
Abstract
현재 에너지소비 및 탄소저감에 기여하는 친환경 녹색성장 기술개발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및 구체적 실천방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기오염과 고유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에 대한 관심은 해를 거듭할수록 커지고 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정 이래 자전거 도로 건설 등 자전거 관련 시설 공급, 자전거 통행 수요 유발 등의 자전거 활성화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자전거 사고 감소 및 이용자 안전에 대한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도로교통공단에서 제시한 자전거 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2007년 2,174건, 2008년 3,448건, 2009년 4,326건, 2010년 3,902건으로 연평균 24.75% 증가 하였다. 자전거 이용자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음에도 자전거 안전에 대한 의식은 미비하다. 자전거 사고의 경우 사고 발생빈도는 자동차 사고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지만, 사고 발생시 그 심각도는 매우 높다. 특히 단일로 또는 교차로와 같이 자전거 이용시 자동차와 상충이 발생할 수 있는 곳에서는 사고심각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서 발생한 2009년 자전거 사고자료 중 자전거-자동차 충돌사고만을 이용하여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순서형 프로빗 모형(Ordered Probit Model)을 이용하여 자전거 사고심각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자전거 사고 심각도 저감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전거-차량 충돌사고의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988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338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교통·물류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