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 0

현대 공공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현대 공공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of Contemporary Public Art Museum in Social Role
Author
김용승
Keywords
Museum; Space Syntax; Space Configuration; Axial Line; 박물관; 미술관; 공간통사론; 공간구성; 축선
Issue Date
2007-12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 16, NO. 6, Page. 181-188
Abstract
박물관이 지향하는 본래 기능은 예술가치가 있는 자료나 작품을 수집하여 보존․전시하며 나아가 하나의 교육의 장으로서 시민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전까지의 박물관은 작품 수집과 보존․전시하는 기능에는 충실했지만, 교육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데에는 미비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박물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했고, 이제 현대적인 의미의 박물관에 기대되어지는 역할은 단순히 보존ㆍ전시의 개념이 아닌 시민에게 개방된 대중문화의 장소로서 시민 교육의 역할을 담당하며, 나아가 박물관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이 재밌게 즐기며 동참할 수 있는 참여하는 박물관이 되는 것이라 하겠다. 이런 박물관 기능의 확대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로 판단되며, 대중들의 여가․문화생활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계속되는 교육에 대한 욕구가 더해져 현대 박물관이 수행해야하는 역할은 보다 폭넓어지고 있다. 이렇듯 박물관에 기대되어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박물관의 공간구성 역시 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그 요구들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박물관은 보다 많은 건축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미술관의 변화추이와 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0년 이후에 건립되어진 국․공립미술관 중 가장 최근에 개관한 전북도립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경기도립미술관을 선정하여 분석하려 한다. 미술관의 공간구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는 정량화된 분석지표인 space syntax를 이용한다.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현대 미술관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17775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2514
ISSN
1229-799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