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4 0

13C 추적자를 사용한 시화호 상류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 추적에 관한 연구

Title
13C 추적자를 사용한 시화호 상류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 추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Size Fractionated Primary Productivity in Upper Stream of Lake Shihwa
Author
신경훈
Keywords
13C tracer method; primary productivity; size fraction; phytoplankton; Lake Shihwa
Issue Date
2006-03
Publisher
한국하천호수학회
Citation
생태와 환경, v. 39, NO. 1, Page. 93-99
Abstract
본 연구는 시화호 상류역의 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13C추적자를 이용한 현장 배양실험을 통해 각각의 1차생산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정점에서 평균 엽록소 a의 농도는 약 14 μgL−1로 부영양 해역의 분류기준인 10 μgL−1 보다 높은 값을 보이므로, 이 해역은 부영양화 상태라고 판단한 수 있다. 배양 후의 입자성유기탄소와 엽록소 a의 농도비는 30이하로 유기탄소의 주요 기원은 식물플랑크톤이었다. 표층에서는 총 1차생산량이 가장 크지만, 저층에서는 20 μm보다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1차생산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동물플랑크톤의 제거에 의한 결과로 추측된다. 이번 일구정점에서의 기초생산 속도는 93.9 mgC m^{-2}\;d^{-1}$로 1997년 배수갑문 개방 전에 측정된 평균값 (3,972 mgC m^{-2}\;d^{-1}$)의 1/40수준이었으나 1993년 물막이 공사 이전에 측정된 평균값 (3.48 mgC m^{-2}\;d^{-1}$)보다는 높았다. 20 ∼ 53 μm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이 1차생산에 51%의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화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들의 생장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화호에서 처음으로 식물플랑크톤 크기에 따른 1차생산성을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방법은 방사성 동위원소인 14C에 비해 안전하며, 분자준수의 생산 유기물 조성을 규명한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향후 수권 생태계 물질순환 및 에너지흐름에 관한 연구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Primary productivity was determined by using 13C tracer according to different cell size of phytoplank-ton through in situ incubation experiments in upper stream of the Lake Shihwa.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was 14 μgL−1 demonstrating an eutrophic water. The ratio of POC/Chl-a was lower than 30, reflecting that the origin of organic matter might be mainly phytoplankton. The primary productivity was 93.9 mgC m^{-2}\;d^{-1}$ at St. 1, which was about 40-fold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lake (3,972 mgC m^{-2}\;d^{-1}$) determined by Choi et al. (1997) before opening of gate but it was higher than the average primary productivity (3.98 mgC m^{-2}\;d^{-1}$) reported by KOWACO in 1993 before constructing dam. The fractionated size (20 ∼ 53 μm) of phytoplankton community account for 51% of total primary productivity, indicating the highest assimilation rate. This study suggest that 13C tracer methodology should be applied as a useful approach for the water ecological research in the future.
URI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618317186462&SITE=CLICK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1843
ISSN
2288-1115;2288-112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과학기술융합대학) >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해양융합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