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3 0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소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을 중심으로

Title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소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udents' Alienation Experience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Focused on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Author
공정민
Alternative Author(s)
Kong, Jeong Min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Due to changes in overall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remote classes after the pandemic, online classes now coexist properly with existing face-to-face education. One of the important areas in the era of ‘connection’ where meeting and learning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can occur at any time is ‘human and education’. Currently, online education is emphasized in terms of technical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but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is the value centered on ‘humans’. Even if the place and method of education change, it is still the sam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s is eventually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so it is necessary to realize human-centered values that can be ignored. In recent years, synchronous online classes have been expanding to eliminate restrictions o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o 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s a more critical factor.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encounter’,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s frustrated or alienated in non-face-to-face blind spots. In addition, irresponsible contact, i.e., the connection of contactless relationships, which occurs when they do not see each other despite real-time interactions, can form a blind spot of dehumanized alienation by making it impossible to understand others fully. Therefore, this study, focusing on Martin Buber’s philosophy of ‘encounter’, first confirms the meaning of ‘encounter’ that learners of real-time online classes in colleges experience in class, second examines the experiences of alienation experienced by learners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and third, presents educational ways to overcome the alienation of learners. Martin Buber’s philosoph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overcoming the instrumental and materialistic ‘I(Ich)-It(Es)’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oday’s online class environment while also overcoming human alienation in future school education, re-recognizing the meaning of ‘encounter’. This study judged tha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ropriate to reveal the alienation phenomenon that learners have in common and find its essential meaning. The six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Research participant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5-step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he analyzed data were categorized into the meaning unit, theme, and focal mea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encounter’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examined for a prior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synchronous online class learners in university, was revealed through the components of ‘conversation’ and ‘relationship’ surrounding learners. The conversations experienced by learners appeared superficial and limited, with a hierarchical atmosphere within the class and meanings conveyed without forming a consensus due to lack of contact. Next, the relationships experienced by learners appeared as heterogeneous beings that felt only close and distant, and the surrounding atmosphere in which they became accustomed to living on their own. In light of Martin Buber’s philosophy of ‘encounter’, the ‘encounter’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stood at the boundary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only in the ‘I(Ich)-It(Es)’ relationship. Second, the components of the alienation experience examined for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lienation experience of synchronous online class learners in university were revealed in various ways in the context of the three areas where th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t first, the alienation experience in life living with nature (the world) is related to the physical space where learners take classes, such as the absence of power in the space itself and the perception that the world is inside and outside the computer they take classes is separated. Next, the alienation experience in living with people showed that they felt that there was no information shared between themselves, instructors, or fellow learners,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to share information, and that a bond that did not build up while performing their tasks. Lastly,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in living with spiritual beings was found to experience value confusion about the necessity of existence because each other’s values or life context were not adequately shared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ird, the educational ways for overcoming the alienation of learners were presented as the principle of Martin Buber’s five characteristics of the ‘I-you’ relationship. It was revealed as the theme of the current will to connect to the relationship as a subject, the liberation of communication, and recovery of experiential consensus through physical contact.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each learner seeking ways to respond and cope with overcoming alienation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was brought to the online education field in the context of face-to-face education that was previously dealt with. Second, as empathy and solidarity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became important, this study tried to talk about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and restore the value of ‘encounter’. Third, the aspect of personal growth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as considered, and an education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alienation of learners was presented. It can help establish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the solidarity of relationships. This study attempted to ask an essential question about where education should be headed in the future, away from the view of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questions,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be more active in examining the value of ‘encounter’ and what alienation learners are experiencing by expanding to various educational and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s. |팬데믹 이후 원격수업과 같은 전반적인 소통방식의 변화로 인해 이제는 온라인 수업이 기존의 대면 교육과 적절히 공존하는 시점이 되었으며, 언제든 교육적 주체 간의 만남과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접속’의 시대에서 중요한 영역 중 하나는 바로 ‘사람과 교육’이다. 현재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기술적인 측면의 효과성이나 효율성의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는 부분이 있으나, 교육의 장소와 방식이 변한다고 할지라도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남이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맺는 만남이라는 것은 변함없기에 외면될 수 있는 ‘사람’ 중심의 가치 구현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비대면에서 발생하는 소통과 상호작용에 대한 제약을 없애기 위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비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주체 간 관계 형성은 더욱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만남’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에 이루어지는 만남은 비대면의 사각지대 속에서 좌절되거나 소외되고 있다. 또한, 실시간 상호작용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보지 않음에 따라 일어나는 무책임한 접촉 즉, 접촉 없는 관계의 접속은 타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인간화된 소외의 사각지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을 중심으로 첫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가 수업 상에서 경험하는 ‘만남’의 의미는 무엇인지 확인하고, 둘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가 겪은 소외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며, 셋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가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경험과 함께 소외 극복을 위한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은 오늘날 온라인으로 연결된 수업 환경에서 교육적 주체 간에 맺는 도구적이고 사물적인 ‘나(Ich)-그것(Es)’으로서의 관계와 소통질서를 극복하는 한편, 미래 학교 교육에서의 인간 소외현상을 극복하고 ‘나(Ich)-너(Du)’의 관계로서 ‘만남’의 의미를 재인식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공통으로 갖는 소외현상을 드러내고 그것의 본질적인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4년제 일반대학교의 대학생 중 의도적 표집을 거쳐 최종 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자와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 5단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의미 단위, 주제, 중심의미 순서에 따라 범주화가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소외 경험에 대한 사전의 표면적 이해를 위해 살펴본 온라인 수업 상에서의 ‘만남’의 의미는 학습자를 둘러싼 ‘대화’와 ‘관계’의 구성요소를 통해 드러났다. 먼저, 학습자가 경험한 대화는 피상적이고 한정적인 대화, 수업 내에서의 위계적인 분위기, 접촉하지 못함에 따라 공감대의 형성 없이 전달되는 의미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습자가 경험한 관계는 가깝고도 멀게만 느껴지는 이질적인 존재, 각자도생에 익숙해져 가는 주위의 분위기 등으로 나타났다.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으로 비추어 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상에서의 학습자와 교수자 또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에 이루어진‘만남’은 ‘나-그것’의 관계에 그치며 주체와 주체가 아닌 주체와 객체로서의 경계에 서 있었다. 둘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소외 경험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살펴본 소외 경험의 구성요소는 Martin Buber의 관계가 세워지는 세 가지 영역의 맥락에서 각각 다양하게 드러났다. 먼저, 자연(세상)과 더불어 사는 삶에서의 소외 경험은 학습자가 수업을 듣는 물리적인 공간과 관련된 것으로 공간 자체가 지닌 힘의 부재, 자신이 수업을 듣는 컴퓨터 안과 바깥의 세계가 분리되어 있다고 느끼는 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람들과 더불어 사는 삶에서의 소외 경험은 자신과 교수자 또는 동료 학습자 사이에서 공유하는 정보가 없다고 느끼는 것, 정보를 공유할 관계 자체가 부재하다고 느끼는 것, 각자의 일을 수행하는 각자도생의 가운데 쌓이지 않는 유대감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신적 존재와의 더불어 사는 삶에서의 소외 경험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서로의 가치관이나 살아온 인생의 맥락이 제대로 공유되지 않음에 따라 존재의 필요성에 대한 가치 혼란을 경험하는 것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의 소외 극복을 위한 교육적 방안은 Martin Buber가 얘기한 ‘나-너’의 관계가 갖는 5가지 특징을 원리로서 제시하였으며, 크게 ‘주체로서 관계에 연결되고자 하는 현재의 의지’, ‘소통의 해방구가 곧 소외의 해방구’, ‘신체적 접촉을 통한 체험적 공감대의 회복’의 주제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들 저마다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에 맞게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대응하고 대처하는 방식을 모색해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이 기존에 다루어지던 대면 위주의 만남의 맥락에서 온라인의 교육현장으로 끌고 나와 그 의미를 확장하려고 하였다는 데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타자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감과 연대가 중요해짐에 따라 비대면 교육이 주목받는 이면에 잊지 말아야 할 교육적 주체 간의 관계의 본질을 얘기하고 ‘만남’의 가치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의 본래적 가치인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만남을 통한 인격적 성장의 측면을 고려하고, 학습자의 소외 극복을 위한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계의 연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비대면 교육의 지향점과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면을 지향하고 비대면을 지양해야 한다거나, 비대면의 반대말은 대면이라는 형식상의 이분법적 구조를 보는 시야에서 벗어나 보다 앞으로의 교육이 향해야 할 곳은 어딘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로부터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비단 온라인 교육환경뿐만 아니라 여러 교육환경으로 확장되어 ‘만남’의 가치를 살피고, 학습자가 어떠한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지 들여다보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500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4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