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6 0

실감형 전시의 어포던스 유형 연구

Title
실감형 전시의 어포던스 유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ffordance Type of Realistic Exhibition
Author
백금령
Alternative Author(s)
Bai, Jin Ling
Advisor(s)
김영재
Issue Date
2023.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가 발전하면서 우리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는 융합된 세상 속에 살고 있다. 메타버스, 실감형 콘텐츠가 화제가 되고 신기술에 힘입어 인터랙티브 게임, 모션기반 어트랙션, 3D영화, 가상현실과 같은 새로운 장르의 산업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시의 형태도 관람객의 행위를 유도하는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체험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에 따라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전시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면서 기존 전시의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식과는 달리 일방적인 수동적 흡수에서 변화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테크놀리지를 활용하여 관람객에게 능동적인 참여와 체험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해지고 엔터테인먼트 요소의 기능이 강화되는 관람객 스스로 몰입할 수 있는 체험까지 제공하는 전시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감형 전시는 창의적인 표현을 통하여 작품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기에 기술 자체가 작품의 중심이 되어서는 안 되며 기술은 작품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을 돕는 인터페이스로써 사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실감형 전시는 작품이 선보이고자 하는 내용이 관람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으로 이루어지며 몰입과 체험이라는 감각적 요소에 충실하면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전시 작품의 변화와 완성이 관람자에게 통제 권한이 주어지기에 상호작용성이 전시 관람 과정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한층 더 몰입된 관람 경험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유도하는 어포던스를 디자인하는 것이 더없이 중요하다. 특히 관람자와의 효율적인 소통을 이루기 위해서는 관람자가 작품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하며, 작품의 의도에 맞는 행위를 유도할 수 있도록 이론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감형 전시는 전시 관람 중 관람객과 작품의 상호작용이 실시간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관람자의 자연스러운 행위를 유도하는 어포던스를 효과적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감형 전시의 상호작용성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어포던스 이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전시와 어포던스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성과 어포던스의 연관성을 제시함으로써 실감형 전시만의 어포던스 유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인 실감형 전시 ‘Teamlab Borderless’를 사례로 선정하여 실감형 전시에서의 어포던스 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해보았다. 연구 결과 실감형 전시에서는 어포던스를 통하여 관람자의 행동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실감형 전시에서는 공간적, 물리적, 인지적, 감각적 어포던스가 상호작용 과정에 존재하고 있으며 실감형 전시의 내용에 적합하게 디자인되어 있다. 실감형 전시에서의 어포던스는 물질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같은 공간 속에 존재하는 관람객과의 관계, 그리고 작품이 선보이고자 하는 스토리를 통하여 작품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관람객에게 전달함으로써 심층적인 전시 관람 경험을 얻게 한다. 또한 어포던스를 적용한 실감형 전시는 관람자에게 목표를 부여함으로써 관람을 경험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감형 전시에서 나타나는 어포던스 유형을 새롭게 분류하였고 각 어포던스가 전시사례에서 어떻게 적용하였고 어포던스가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실감형 전시의 전시 콘텐츠 기획에 있어 어포던스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활성화된 전시 기획 방안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시 작품의 구현을 기대하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5454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002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