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8 0

원격근무에서 직장 고립에 대한 연구

Title
원격근무에서 직장 고립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orkplace Isolation in Remote Working: The Analysis of Workplace Isolation Perception and The Effect on Work Engagement
Author
송세경
Alternative Author(s)
Song, See Young
Advisor(s)
송지훈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orkplace isolation in a remote work situation affects not only the individual’s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but also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Workplace isolation is a subjective emotion of an individual, and it is necessary to prevent and cope with workplace isolation by identifying how the organizational members perceive the workplace isolation and the cause and results. On the other hand, as workplace isolation can be divided into social isolation and professional isolation according to the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workplace isolation on the employee’s psychological state about the work in the remote work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workplace isolation by using topic model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isolation in the remote work situation on organizational member’s workplace isolation and the effects of it on work engage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workplace isolation an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isolation and work engagement in the remote work situation, the following three procedural purposes were established: First, it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workplace isolation. Seco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solation and workplace isolation. Thir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isolation and work eng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mployees who worked remotely with a working tenure of 6 months or longer in each company. Data preprocessing, determining optimal topic number, morpheme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analyzed with python 3.7.13 version of Colab. Next, based on these results,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efor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structural model validity, and hypothesis, AMO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were 7 perceptions of workplace isolation, 5 perceptions of causes, and 5 perceptions of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workplace isolation is mainly focused on the cause of workplace isolation, and it is largely divided into relational and professional dimensions. Second, in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the cause of workplace isolation, the reasons such as physical isolation, communication impossible, work conflict, situation and individual tendency difference, unreasonable organizational problems were derived. Third, in the case of the perception of the result of workplace isolation, the result was that peer relationship problems, communication problems with organizational members, reduced organizational efficiency, increased personal stress and decreased performance. Next,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isol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isolation and professional isolation. Second, social isol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but the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isolation in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new method called topic modeling was appli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the emo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was confirmed based on the emotion of workplace isolation that may occur in remote work situations. Third, physical isolation of a remote work situation can cause social isolation and professional isolation. Fourth, social isolation can be one of a demand that can foster reduction of employee’s work engagement. Fifth, professional isolation should be view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is necessary for employee’s work engagement, focusing on workplace isolation in the remote work situation.|원격근무 상황에서 발생하는 직장 내 고립감은 개인의 정서, 태도, 행동뿐만 아니라 조직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직장 내 고립감은 개인의 주관적인 정서로서, 조직 구성원이 직장 내 고립감과 이에 대한 원인 및 결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조직 구성원의 직장 내 고립감을 예방 및 대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직장 내 고립감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으로 구분할 수 있는 만큼, 직장 내 고립감의 유형별 조직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원격근무 상황의 조직 구성원의 업무 수행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직장 내 고립감과 이에 대한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원격근무 상황의 물리적 고립이 직장 내 고립감을 통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직장 내 고립감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원격근무 상황의 직장 내 고립감과 직무 열의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절차적 목적을 수립하였다. 첫째, 원격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직장 내 고립감의 주관식 설문 조사에서 나타는 직장 내 고립감의 인식을 확인하고, 둘째, 원격근무 상황에서 물리적 고립이 직장 내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며, 셋째, 원격근무 상황에서 직장 내 고립감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정한다. 이를 위해 원격근무로 업무를 수행하고, 근속 연수가 6개월 이상인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토픽 모델링 분석을 위해 Python 3.7.13 버전의 Colab을 활용하였으며, 데이터 전처리 및 형태소 분석과 최적의 토픽 수 도출 및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토픽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에 앞서 SPSS 21.0을 통해 기술 통계 및 상관 분석, 신뢰도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AMOS 21.0을 통해 연구 모형과 구조 모형 타당성 검증 및 가설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토픽 모델링의 결과는 직장 내 고립감에 대한 인식 7개, 직장 내 고립감의 원인과 결과가 각각 5개씩 도출되었다. 이를 살펴보면 첫째, 직장 내 고립감은 직장 내 고립이 발생하는 원인을 중심으로 인식하며, 크게는 관계적 차원과 업무적 차원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직장 내 고립감의 원인은 물리적 고립이나, 구성원 간 차이로 인한 소통 불가능, 업무 갈등, 상황과 개인의 성향 차이, 불합리한 조직 문제 등의 이유가 도출되었다. 셋째, 직장 내 고립감의 결과는 동료 관계 문제, 조직 구성원과 소통 문제, 조직 효율성 감소, 개인 스트레스 증가 및 성과 감소라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모든 토픽에서 업무라는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가설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고립은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은 직무 열의를 낮추지만, 전문적 고립과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의 정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토픽 모델링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적용하였다. 둘째, 원격근무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직장 내 고립감이라는 정서를 중심으로 조직 구성원의 주관적인 인식을 확인하였다. 셋째, 원격근무 상황의 물리적 고립으로 인해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직무 열의에 대해 사회적 고립이 직무 스트레스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전문적 고립을 직무 요구 및 직무 자원이 아닌 다른 관점으로 봐야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격근무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직장 내 고립감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확인하고, 직장 내 고립감의 주된 문제로 제시된 직무에 대한 몰입과의 영향 관계를 밝힘으로써, 원격근무 상황에서 직장 내 고립감을 중심으로 조직 구성원이 직무에 몰입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에 있어 인적 자원 개발의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9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87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