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 0

예능 콘텐츠의 사회적 전통문화교육 효과 연구: 스토리 구성에 따른 예능 콘텐츠 유형을 중심으로

Title
예능 콘텐츠의 사회적 전통문화교육 효과 연구: 스토리 구성에 따른 예능 콘텐츠 유형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Soci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Variety Shows on Traditional Culture: Classifying Different Variety Shows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ir Stories
Author
마루신
Alternative Author(s)
MALUXIN
Advisor(s)
박조원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예능 콘텐츠의 교육적 오락물로써의 활용 가치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청자가 지각하는 스토리 구성의 차이를 근거로 예능 콘텐츠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인지된 침입성, 인지된 흥미성, 지각된 콘텐츠 가치와 전통문화교육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전통문화교육 효과는 예능 콘텐츠를 시청 후, 시청자의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와 향후 행동 의도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문화 콘텐츠가 삽입된 리얼 버라이어티쇼보다 토크쇼를 접했을 때 시청자의 인지된 침입성과 흥미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토크쇼 시청자의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콘텐츠의 가치와 향후 행동 의도의 경우, 전통문화 콘텐츠가 삽입된 토크쇼보다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접한 시청자의 응답이 더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시청자는 두 유형의 콘텐츠 시청에서 모두 일정 수준의 침입성을 인지했지만, 침입성의 정도가 프로그램 시청이나 전통문화교육에 방해가 될 정도는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인지된 흥미성과 지각된 콘텐츠 가치는 시청자의 전통문화에 대한 태도, 향후의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고 예능 콘텐츠 유형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토크쇼와 리얼 버라이어티쇼의 교육적 오락물로써의 활용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두 유형의 예능 콘텐츠를 교육적 오락물로 활용할 때 전통문화교육 효과에 있어서 각각의 유형이 갖는 강점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예능 콘텐츠 기획에 있어 의도한 바를 실행하기 위해 어떠한 유형의 예능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판단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향후 교육적 오락물 활용에 관한 연구가 이론적, 실무적으로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58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28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