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 0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R&D 효율성 분석 : 질적 성과물을 중심으로

Title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R&D 효율성 분석 : 질적 성과물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R&D Efficienc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ore Technology: Focusing on Qualitative Achievements
Author
최경현
Keywords
신재생에너지; 자료포락분석법; 에너지 R&D; New and Renewable Energy; Data envelopment analysis; Energy R&D
Issue Date
2020-10
Publisher
한국기술혁신학회
Citation
기술혁신학회지, v. 23, no. 5, page. 890-903
Abstract
기후환경 개선을 위해 정부는 에너지기술개발 투자 증가 계획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 선점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질적 성과물을 활용한 효율성 분석을 통한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과제를 질적 성과물인 표준화된 순위보정영향력지수, 특허 SMART Grade, 기술 수준 개선 지표 3가지를 활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1개 분야 중 수소, 태양열, 석탄이용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비경제적인 투자규모로 인해 상대적 효율성은 낮았기 때문에 연구개발 투자규모를 효율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상대적 효율성이 낮더라도 성장잠재력이 큰 분야도 있을 수 있기에 정책적 방향을 고려한 투자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에너지 전환 정책의 목표 달성과 함께 기술선점을 위해 질적 성과물 기반의 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향후 연구로는 추가적 질적 성과물을 활용한 효율성 변화를 추적하는 연구도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To improve the climate environment,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transition to eco-friendly energy through a plan to increase investment in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mong the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preoccupying the core technologi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y through efficiency analysis using qualitative outcomes. Therefore, this study uses the data envelope analysis method to determine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core technology development tasks from 2014 to 2018 by using three qualitative outco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of the projects excluding hydrogen, solar power, and coal-using sectors out of the 11 sectors had low relative efficiency due to the uneconomical investment scale, so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adjust the R&D investment scale. As a resul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meaningful that an analysis model based on qualitative outcomes was presented to achieve the goal of energy conversion policy and preempt technology.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future research will be possible to track changes in efficiency using additional qualitative outcome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4887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1011
ISSN
1598-2912; 2713-8666
DOI
10.35978/jktis.2020.10.23.5.89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기술경영전문대학원) > TECHNOLOGY MANAGEMENT(기술경영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