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6 281

대학생 학습자의 온라인 예술치료 수업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Title
대학생 학습자의 온라인 예술치료 수업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tical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ʼ Online Art Therapy Class Experience
Author
김선아
Keywords
온라인 예술교육; 온라인 예술치료; 대학교양교육; 대학생 학습자의 수업 경험; online art education; online art therapy; gener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online class experience
Issue Date
2020-09
Publisher
한국조형교육학회
Citation
조형교육, v. 75, page. 167-193
Abstract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 맞게 재설계된 「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인식과 경험에 대해 질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7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이메일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기록물 및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수업이기에 가능하였던 ‘익명성이보장하는 솔직함’은 학습자가 내면을 노출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낮추었으며 타인에 대한 고정관념을 걷어내어 서로에게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물리적으로는 접촉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편견 없이 자신의 목소리가 들려지는 경험을 통해온라인 수업 공간이 ‘선입견 없는 안전한 공간’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기록과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워크시트’와‘파트너의 피드백과 공감’은 기술의 불편함을 넘어서는 상호작용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온라인 수업에서의 예술적경험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기표현의 방법을 획득하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예술은 ‘누군가의 것이 아닌 누구나의 것’이라고인식하게 되었으며 예술로 여기지 않았던 일상적 행위들 안에서 미적 의미를 발견하는 기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the learn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n online class, focusing on the case of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redesigned for online environment. 7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 were selected for the email interview, and various data including interview rec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ankness guaranteed by anonymity' made possible by untact class, lessened the burden of the learners to expose their inside and had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by breaking stereotypes. Although they couldn't make physical contact, the experience of hearing their own voice without prejudice led them to recognize the online class space as a ‘safe space without preconception’. Second, 'Worksheets for recording and reflection' and 'Partner's feedback and empathy' allowed interactive experiences that exceed the inconvenience of technology. Third, the artistic experience in online class provided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acquire a new way of self-expression, to recognize that the art is 'anyone's, not someone's', and to discover aesthetic meaning within ordinary acts not considered art.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1826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0849
ISSN
1225-4177; 2508-8947
DOI
10.25297/AER.2020.75.1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대학생 학습자의 온라인 예술치료 수업 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