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 0

A case study on waste lime earthwork management method using 3D digital model

Title
A case study on waste lime earthwork management method using 3D digital model
Other Titles
3D 디지털 모델을 활용한 폐석회 매립지 토공사 시공관리 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Author
배정열
Alternative Author(s)
배정열
Advisor(s)
서종원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Waste-lime treatment has a higher cost than the general silt treatment-related process, which is due to the specificity of waste-lime. Because waste lime causes safety disasters by harmful substances on the human body, it is necessary to wear protective equipment, and due to high water content, foot slippage occurs, which lowers the productivity of surveyors.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waste lime buried cannot be clearly identified and designed, additional derivation of the waste lime removal zone during construction and the elevation of waste lime generation are often different from the design data. This leads to frequent design changes, and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to prepare the required documents for design change, such as ready-made and inspection documents. Therefore, this study uses drone surveying and a 3D digital model to increase access to the waste lime generation area to prevent safety disasters, to secure high accuracy of current status surveys, and to check construction management points that can be missed with the naked eye. The construction person in charge was able to review and manage accurate data from various directions on the site, and by improving the existing work process for established and detection, the convenience of office workers was greatly improved. In addition, as a derivative effect, as the volume change rate measurement using the 3D digital model became quick and accur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waste lime drying process could be easily calculated and immediately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폐석회 처리는 일반 토사 처리 관련 공정보다 높은 비용을 보이며, 이는 폐 석회의 특수성 때문에 발생한다. 폐석회는 인체에 미치는 유해물질에 의하여 인력의 안전재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보호구 착용을 필요로 하며 함수비가 높 아 발빠짐 현상이 발생해 측량인력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폐석회가 매 립된 양을 명확히 파악하고 설계할 수 없어, 시공 중 폐석회 제거 구역의 추 가 도출 및 폐석회 발생 고도가 설계 데이터와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이는 잦 은 설계변경을 유도하며, 설계변경 시 필요한 서류인 기성, 검측 서류 작성에 많은 인력투입과 기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연구는 드론측량과 3D 디지털 모델을 활용해 폐석회 발생 구역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안전재해를 예방하고 현황측량의 높은 정확도 확보와 육 안으로 놓칠 수 있는 공사관리 포인트를 점검 할 수 있게 하였다. 시공 담당 자는 현장에 대한 다각적인 방향에서의 정확한 데이터를 검토 및 관리할 수 있었으며, 기성, 검측에 대한 기존의 작업 프로세스를 개선해 사무 인력의 편 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아울러 파생효과로써, 3D 디지털 모델을 활 용한 물량변화율 측정이 신속하고 정확해 지면서 폐석회 건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손쉽게 산정하고 이를 시공에 즉각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97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