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1 0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들이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Title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들이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Other Title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face difficulties in parental counseling and demand for support
Author
이유정
Alternative Author(s)
LEE YOU JUNG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d in-depth interviews about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parental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difficulties they face in parental counseling through the specific experiences of beginners and experienced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This will help plan and operate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parental counseling in the fiel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to find a way nationally and sociall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upport request in parental counseling of start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The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difficulties d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face in parent counseling? 1-1. What difficulties do beginning teachers face in parent counseling? 1-2. What difficulties do experienced teachers face in parent counseling? 2. What support requests d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ant in parental counseling? 2-1. What are the application requirements of beginning teachers? 2-2. What are the application requirements of experienced teache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parent counseling from January 18 to March 15, 2021, targeting a total of 30 teachers, 15 beginning teachers and 15 experienced teachers, who are working at a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sing Zoom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support needs for improvement. Interviews through non-face-to-face Zoom were conducted tw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ivided into factors tha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arent counseling and support requests, and factors and support requests that experienced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parent counseling.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in parent counseling, difficulties encountered in data preparation, data analysi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difficulties due to limitations in their own abilities, difficulties due to the corona epidemic was separated into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pport request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beginning teachers in parent couns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y hoped for a mentoring system for beginning teachers, professional and systematic evaluation materials, expansion of training for beginning teachers, and placement of assistant teachers or assistant teachers who can prepare documents and materials related to parent counseling.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xperienced teachers in parent counseling, they were divided into difficulties in preparing material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parents' expectations for teachers, and difficulties due to the corona epidemic.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quest for support to improv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xperienced teachers in parent counseling,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for parent counseling, a program to share experiences and cases among teachers in relation to parent counseling, and designated infant materials It was found that they wanted to introduce a mentoring system for experienced teache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nd support needs of beginner and experience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having difficulties in parental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difficulty experienced in parental counseling that the start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were talking about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beginning teachers, difficulties in data preparation and analysi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difficulties due to limitations in their own abilities, difficulties due to the corona epidemic, and difficulties in their own abilities and parental counseling are not well know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perienced teachers, difficulties in preparing materials, relationships with parents, parents' expectations for teachers, and difficulties due to the corona epidemic. It can be observed that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directions, and expectations as a career teacher appear more frequen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 requirements of beginners and experienced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beginning teachers, there was a request for support to receive parental counseling support for counseling in advance, such as mentoring related to counseling, systematic programs, expansion of training for new teachers, and placement of assistant teachers, and to know the counseling method. On the other hand, experienced teachers develop and develop the skills and knowledge possessed by experienced teachers, such as training a professional instructor who can learn various counseling method skills, sharing experiences between teachers, preparing designated children's materials, and mentoring for experienced teachers, mentioned the need for support that can be acqu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in-depth the difficulties faced in parental counseling and support requests to improve them for beginners and experienced teachers working in private kindergartens.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들이 부모 상담을 통해 겪는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대한 심층면담을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는 사립 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부모 상담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어려움의 요인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체계적인 부모 상담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들의 부모 상담에서 지원요구에 대해 관심을 갖고 국가적, 사회적으로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해본다.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립유치원 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1-1. 초임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1-2. 경력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2. 사립유치원 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바라는 지원요구는 무엇인가? 2-1. 초임교사의 지원요구는 무엇인가? 2-2. 경력교사의 지원요구는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서울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서 근무하고 있는 초임교사 15명, 경력교사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18일부터 3월 15일까지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Zoom을 이용한 개별심층면담, 전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Zoom을 통한 면담은 2회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크게 초임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요인과 지원요구, 경력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요인과 지원요구로 나누어 도출되었다. 첫째, 초임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자료준비에서 겪는 어려움, 자료 분석에서 겪는 어려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어려움, 자신 능력의 한계로 인해 겪는 어려움, 코로나 전염병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임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요구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초임교사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자료, 초임교사 연수 확대, 부모 상담과 관련된 서류 및 자료 준비할 수 있는 보조교사나 도우미 교사 배치 희망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자료준비에서 겪는 어려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어려움, 교사에 대한 부모의 기대감, 코로나 전염병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경력교사가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요구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부모 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강사 연수, 부모 상담과 관련되어 교사들 간의 경험과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지정된 유아 자료 마련, 경력교사들을 위한 멘토링 시스템 도입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들이 부모 상담에서 어려움을 겪는 요인과 지원요구를 알아본 결과 초임교사와 경력교사가 이야기하는 부모 상담에서의 느끼는 어려움의 요인은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임교사의 경우는 자료준비와 분석에서 겪는 어려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어려움, 자신 능력의 한계로 인해 겪는 어려움, 코로나 전염병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으로 자신 능력의 부족함과 부모 상담에 대해 잘 몰라서 발생되는 어려움 부분이 주를 이루는 반면, 경력교사의 경우 자료준비에서 겪는 어려움, 학부모와의 관계, 교사에 대한 부모의 기대감, 코로나 전염병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으로 구체적 주요 어려움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자료의 부재와 다양한 상담 기법과 방향성, 경력교사로서의 기대 등에 대한 내용들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또 사립유치원의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지원요구 부분도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임교사의 경우에는 상담과 관련된 멘토링, 체계적인 프로그램, 초임교사 연수 확대, 보조교사 배치 등 사전에 상담을 위해 부모 상담을 지원받고 상담 방법을 알고자 하는 지원 요구가 있었다. 반면에 경력교사들은 지원 요구로 다양한 상담 방법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전문 강사 연수, 교사들 간의 경험사례 공유, 지정된 유아 자료 마련, 경력교사들을 위한 멘토링 같이 경력교사가 가지고 있는 기술과 지식들을 더욱 발전하고, 습득할 수 있는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임, 경력교사들을 대상으로 부모 상담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요구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96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