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5 0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rauma in Childhood-Adolescent on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or Early Adulthood :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Avoidance Focused Coping
Author
정효진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s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interpretation and avoidance of positive ev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ccording to purpose of this study,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in early adulthood across the country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411. Measurement tools included 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Trauma Antecedents Questionnaire (TAQ), Posttraumatic Designatory Scale (PDS),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Scale (IPES), and Coping Strategy Indicator, (CS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avoidance-oriented coping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early adulthood. Second, it was verified that negative interpretations of positive event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s and early adul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ird, it was verified that avoidance-oriented coping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s and early adul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ourth, it was verified that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avoidance-oriented cop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s and early adul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s, early adul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and avoidance-oriented coping.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research subjects. Thi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double mediation of a avoidance-oriented coping method and negative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trauma experienc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early adulthood.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과 회피 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기 성인기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1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 경험 척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긍정적 사건에 대한 해석 척도, 회피적 대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및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주요 변인간의 영향 관계에 대해 알아본 결과,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 회피 중심적 대처가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계에서 회피 중심적 대처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과 회피 중심적 대처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이중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 회피 중심적 대처 사이의 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확장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과 초기 성인기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과 회피 중심적 대처방식의 이중 매개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617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47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