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혜근-
dc.date.accessioned2021-02-18T05:37:53Z-
dc.date.available2021-02-18T05:37:53Z-
dc.date.issued2001-02-
dc.identifier.citation이학기술연구지, v. 3, page. 79-84en_US
dc.identifier.issn2005-9051-
dc.identifier.uri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b8d2cc817ff98bfffe0bdc3ef48d419&outLink=N-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8717-
dc.description.abstract193 nm 용 화학 증폭형 감광제(Chemically Amplified Resist)는 노광(Exposure)을 하면 PAG(Photo Acid Generator)에 의해 산이 생성되고 노광 후 열처리 (Post Exposure Bake) 동안 비보호 (deprotection)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빛에 의해 만들어진 산은 노광을 하고 노광 후 열처리를 하기까지의 지연 시간 동안 확산, 증발, 그리고 대기중 염기와의 중화반응 등에 의해 농도가 변할 수 있다. 노광과 노광 후 열처리뿐만 아니라 노광 후 지연 (Post Exposure Delay)에 의해 변한 산의 농도가 현상 후 최종 선폭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광 후 지연 시간에 따른 193 nm 용 양성 화학 증폭형 감광제의 투과율과 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노광 후 지연 시간에 따른 하수 굴절률을 얻었고, 그 결과를 노광 후 열처리시 비보호 고분자 영역의 농도와 관련시켜 선폭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시뮬레이터 LUV(Lithography for Ultra-Violet)에 적용하였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en_US
dc.title193nm 화학 증폭형 감광제 시뮬레이션을 위한 노광후 지연 효과에 대한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Post Exposure Delay Effect for 193 nm Chemically Amplified Resist Simulatio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이학기술연구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영미-
dc.contributor.googleauthor오혜근-
dc.relation.code2012101941-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APPLIED PHYSICS-
dc.identifier.pidhyekeu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E](과학기술융합대학) > APPLIED PHYSICS(응용물리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