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 0

지방산 아마이드계 섬유용 유연제 합성과 물성에 대한 연구: Part 2

Title
지방산 아마이드계 섬유용 유연제 합성과 물성에 대한 연구: Part 2
Other Titles
Study on th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Fatty Acidic Amide Type Textile Softener: Part 2
Author
노시태
Keywords
amidoamines; imidazolines; emulsifying stability; flexible property; antistatic property
Issue Date
2003-02
Publisher
한국공업화학회
Citation
공업화학, v.14, No.1, Page.122-129
Abstract
지방산과 폴리아민을 150 ℃에서 아마이드 반응에 의해 반응시켜 아마이드 결합을 가진 아미도 아민을 제조한 후, 1 ~ 3 torr를 3 h동안 유지하여 이미다졸린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아미도 아민과 이미다졸린을 dimethyl sulfate (DMS), benzyl chloride (MBC)와 sodium chloroacetate (SMCA)를 사용하여 사급화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급화된 반응물을 유화시키기 위해 유화제를 첨가한 시스템과 첨가하지 않은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사급화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아민을 diethylenetriamine (DETA)를 사용한 모든 반응 시스템과 2-(2-Aminoethyl-amino)ethanol (AEEA)를 1:1로 반응한 시스템은 아미도 아민과 이미다졸린을 제조하였으나 2:1인 시스템은 이미다졸린을 제조하지 못했다. 사급화물의 pH에 따른 안정성을 관찰했을 때, 유화제를 첨가한 시스템과 pH가 산성을 띠는 시스템이 좋은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연성의 경우 유화제를 첨가한 아미도 아민이 더 좋은 유연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미다졸린이 아미도 아민보다 더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었다. 폼 안정성의 경우, 아미도 아민과 이미다졸린 모두 사급화제의 영향에 관계없이 유화제를 첨가한 시스템이 첨가하지 않은 시스템 보다 더 많은 기포를 생성하였다. 대전 방지성의 경우, 유화제를 첨가한 유화물 시스템이 첨가하지 않은 유화물 시스템보다 우수한 대전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폴리아민을 DETA을 사용한 시스템보다 AEEA를 사용한 시스템이 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섬유처리 시에 polyester 시험편으로 처리한 것이 월등한 대전 방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99472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030
ISSN
1225-011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재료화학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