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 0

보성소리 심청가 비교연구

Title
보성소리 심청가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Cheong ga of Boseong Sori -Focusing on Jeong Gwonjin·Jeong Hoeseok·Yoon Jincheol Sori-
Author
김송지
Alternative Author(s)
Kim Songji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고에서는 보성소리 <심청가> 중 행화대목을 대상으로 정권진을 중심으로 그의 제자 정회석, 윤진철을 통하여, “生熟生”을 통한 전승과정을 고찰하였다. 보성소리의 계보를 정리하고, <심청가> 중 행화대목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선율을 비교 분석 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성소리의 모체라고 할 수 있는 정권진은 항상 자신의 소리에 만족하지 않아, 끊임없이 발전 하며 완성시킨 보성소리는 ‘성음, 길, 장단’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것이 바로 보성소리의 특징이자 창자별 예술적 완성도를 높여가며 변모하는 판소리의 생명력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런 정권진의 사상을 물려받은 그의 제자 정회석은 ‘보성소리’를 지켜나가기 위해, 정권진의 보성소리를 기반으로 창작하고 협업하는 무대들을 선보였으며, 윤진철은 ‘보성소리 적벽가 완창’ 앨범 발매와 완창 발표회를 통하여, 본인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접근하는 노력을 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보성소리 <심청가> 중 행화대목을 대상으로 정권진, 정회석, 윤진철의 사설을 비교하였을 때, 가사 전개에 무관한 연결구들이 첨가되는 부분, 단어가 다르게 등장하는 부분, “빠져노니”, “어기야” 등 새롭게 등장하고, 빠지는 부분이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과 그 사설 흐름에 있어서는 그 의미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보성소리 <심청가> 중 행화대목에서 정권진은 20장단, 정회석은 21장단, 윤진철은 20장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권진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빠져노니-”의 사설이 한 장단으로 정회석과 윤진철의 소리에 새롭게 나타났으며, 정권진과 정회석에게 나타났던 “어기야-”의 반복 사설이 한 장단이 윤진철에게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선율 진행에 있어, 정권진을 중심으로 정회석과 윤진철이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고, 정회석은 변조도 가장 많이 이루어 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판소리는 스승의 소리를 중심으로 정체되어 있지 않고 일정한 틀 안에서의 자기화 하는 ‘生熟生’의 과정을 통하여 창자마다 추구하는 예술적 가치를 달리하여 발전해왔다. 판소리가 법제 안에서의 지속과 변화를 통한 발전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49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4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