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0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탄난 국악감상영역의 분석 연구

Title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탄난 국악감상영역의 분석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subject of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n in high school first year text book
Author
강선하
Alternative Author(s)
Kang, Sun-Ha
Advisor(s)
박인기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제 7차 교육 과정 총론 및 음악과 교육 과정 중 감상 영역을 중심으로 개정방향을 살펴 본 후 현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감상 영역을 뽑아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고등학교 1학년 음악 교육 과정 중 국악 부분을 영역별로 분류한 후 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감상 영역의 수록 내용을 연주형태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육과정 감상 영역 내용 체계와 개정 중점에 비추어 어떻게 집필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영역의 구성은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각 단원의 목표를 설정하여 간단한 요약소개를 하고, 악보를 참고하여 감상한 후, 학습 마무리를 위한 질의 내용까지 친절히 수록하고 있다. 이는 교과서의 구성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시선이 이동되어 활동을 한 후 정리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과서 감상영역의 구성은 구체적인 안내나 설명이 부족하여 교육현장에서 추상적인 교육으로 그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감상영역을 성악곡, 기악곡,가무악(樂歌舞)곡으로 나누어 수록곡과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성악곡은, 5종 교과서 중 국악에서 대표적인 성악곡 전(全) 장르- 가곡?가사?시조, 민요, 잡가, 판소리?창극?단가, 병창-를 모두 감상영역으로 다루고 있는 교과서는 없으나, 비교적 골고루 접할 수 있도록 수록돼있다. 내용은 악곡의 연주형태와 음계, 장단, 형식 등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출판사에 따라 시대배경을 짧게 언급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기악곡은 성악곡과 달리 교과서 종류마다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대한교과서와 현대음악출판사의 교과서는 기악곡의 전 영역을 다루려 했고, <여민락>, <보허자>, <도드리>, <병주>, <산조>는 2개 출판사에서 다루는 것으로 그쳤다. 주목할 만한 것은 창작곡이 전반적으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춤과 놀이, 극 등과 관련지어 연결한 부분들이 많이 보인다는 것이며, 다른 곡도 유래나 용도에 대한 부분들을 아주 짧게나마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가무악곡을 보면, 60%이상의 교과서가 각 영역을 골고루 다루고 있으며, 배경과 용도를 이해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굿음악은 다양한 굿의 형태가 있으며, 일과 관련되어 전승되고 있는 다양한 굿의 형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한정해서 소개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감상영역 내용체계에 대한 교과서 감상영역을 각 항목별로 분석 고찰하였다. 다양한 시대의 문화권과 연주형태를 접하도록 하고 있는 항목에 대한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성악곡은 다양한 악곡을 다루고 있으나 기악곡은 정악곡-<보허자>,<낙양춘>,<자진한잎>,<도드리>,-은 거의 다루지 않은 교과서가 더 많았으며, 가무악 형태의 의식음악 곡에서 종묘제레악,문묘제례악과 굿음악에 대해 감상으로 할애하여 다룬 교과서는 40~60% 정도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197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창작곡은 전 교과서에서 관심있게 다루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편성으로 보아 우리민족을 공시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어서 조선 후기 이후의 민속악쪽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다양한 연주 형태를 접하도록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 본 바, 다양한 연주형태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국악의 독특한 악편성인 삼현육각이나 병주, 병창의 형태들은 매우 한정되어 다루어지고 있음을 보았다. 악곡의 성격과 구성요소를 이해하도록 하는 면과 창의적으로 신체표현하기에 대한 부분은, 악곡의 유래와 용도, 구성요소, 곡의 배경, 구조와 종류를 중심으로 다루어져 악곡의 성격과 구성요소를 이해할 수 있도록 언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사전적이며, 대부분 소개하고 있는 전체 내용이 5줄 미만으로 관계성을 이해하기위한 길잡이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창의적 활동을 위한 배경이나 유도내용도 곡에 대한 간단한 체험활동을 한 교과서에서 다루는 것으로 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활에서 음악의 역할과 가치 이해에 대해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각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실려 있는 내용은 대체로 악곡의 쓰임과 유래에 대한 소개였으며, 매우 간략하게나마 역사면, 사회면, 문화면, 지역면, 철학면, 기후면을 다루고 있었다.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부분은 사회 문화적인 부분이며, 문화와 관련된 음악의 용도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음악의 발생과 관련된 역사면이 뒤를 이었다.; This paper takes into considerations on the seventh whole curriculum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appreciation and it makes the study of the reflec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courses in present high school music textbook. For that, it classified high school first year traditional Korean music course into various areas, considers the areas of appreciating in textbook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ype and analyzes how the textbooks were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nd the significance of seventh revision. Results follow. First, the appreciation part is composed in most textbooks like this: set the aim, show the summery, appreciate with musical scores, and the questions for the finish. These guide the students to look at, act and finish in accordance with the flow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his type of composition, however, lacks concrete and tangible guidance or explanation so that it confines to an education in the abstract. Secondly, appreciating areas are sectionalized into vocal, instrumental and singing and dancing music. There is not any textbook that includes the whole representative genres - Gagok?Gasa?Sijo, folk songs, miscellaneous songs, Pansori?Changgeuk? Danga, Buynchang. The textbooks introduce music pieces on its performance types, scales, rhythms and forms. Some textbooks make references as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Instrumental music, different from vocal music, differs greatly by the textbook. For instance, Daehan textbook and Hyundae music publishing company's textbook tried to deal with the whole realms of instrumental music. On the other hand,, , , , were in only two companies' textbooks.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re are a lot of creative music pieces. Also, there are lots of pieces relating to dancing, plays and performance, and other at least their uses and origins. Singing and dancing music pieces are well managed in over sixty percents of the textbooks and are composed for easy understanding about the backgrounds and uses. Meanwhile, although exorcist music originally has various forms and many types handed down regarding the works, its introductions are very limited. In the third place, this paper considers the area in textbook according to the system of appreciating contents. In the various textbook contents which guide to the diverse historical cultures and the types of performances, vocal music is variously dealt with, but instrumental music was not included even the court music - , , , and there were forty percent through sixty percent of textbooks that allow rooms for ceremonial music as singing and dancing form, such as Jongmyojereak, Munmyojereak, exorcist music. Compared to this, the creative music composed after 1970's are considered as a matter of great interests. This showed understanding Korean is depending on the folk music pieces which are in the period after the late Choson dynasty. Concerned with the fact about the diverse forms, most textbooks deal with various forms but much limited in the special forms such as Samhyunukkak, Buyngju, Byngchang. The part of making understood the character and composition of them and expressing them creatively by body refers the music's origin, uses, composition, background, structure and class. However, these are all dictionary definitions and the whole explanations are less than five lines so that there are hardly the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 Also, the backgrounds and guidance for creative activity stops in dealing with simple activity in textbook. Finally, considering the role of music in life and appreciating the value of music, the most common contents in each textbook are the introductions of uses and origins of the music and brief introduction relating to history, society, culture, geography, philosophy and climate. The largest part of them is socio-cultural part, that is, main contents are the music uses regarding the culture, and the second was the historical part related the birth of the music.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7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