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9 0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희적 표현

Title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희적 표현
Other Titles
Playful Expression In Contemporary Fashion Illustration
Author
장정임
Alternative Author(s)
Jang, Jung-Im
Advisor(s)
이연희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건축이나 문학, 음악, 회화처럼 문화적 환경으로부터 나오게 된 예술의 한 형태이며 그것을 창출해내는 사회의 영감과 욕구를 반영한다. 따라서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그 표현경향에도 많은 변화가 있어왔으며 최근 패션, 미술, 공간 디자인 등 현대문화에 확산되고 있는 유희 트렌드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예술 및 상업적 가치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이 평가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유희적 표현들이 어떠한 경향을 띄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라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되고 있는 유희적 표현경향 및 특징을 조사하여 이러한 유희적 양상들이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희적 표현이 나타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설득력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과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시대적 변화를 고찰해보고 그 기능 및 다방면에 활용된 사례들을 살펴본다. 둘째, 유희의 개념을 파악하고 유희관련 논의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현대사회에 유희가 확산되게 된 배경과 유희표현이 나타난 사례들을 살펴본다. 셋째,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작품분석을 통해 유희적 표현 특성 및 방법을 고찰해본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유희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고찰을 위해 다양한 사회과학· 문화· 예술· 미학관련 서적과 트렌드 관련자료 및 학술 논문을 참고하였다. 연구범위는 유희 트렌드가 확산된 시점인 1995년부터 2006년까지로 정하였고 이 기간 동안 패션 잡지, 디자이너 작품집, 인터넷 웹사이트 등에 발표된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들 중 약 1800여점을 1차로 수집하였다. 2차 과정에서는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유희적 표현경향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위 3항목 즉, 인체변형, 키덜트적 표현, 이질적 요소의 도입이라는 용어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하위 항목으로는 인체변형에는 단순화, 과장, 키덜트적 표현에는 미숙한 표현, 환상적 표현, 이질적 요소의 도입에는 동· 식물· 사물의 이미지도입, 입체적 표현, 문자나 사진과의 결합으로 구분하여 번호를 지정하였다. 또한, 시각적으로 표현특징 및 방법을 구별하기 어려운 작품들을 제외하였는데 이 과정을 통해 443점의 작품이 추출되었다. 3차 과정에서는 연구자가 추출한 443점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패션 디자인을 세부전공으로 하는 의류학 분야의 박사 5인, 석사 4인을 포커스그룹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최종적으로 빈도수가 n=5 이상 즉, 과반수이상의 전문가 집단이 선택한 335점(전체 표본의 75.6%)을 토대로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희적 표현특성과 방법 및 그 효과를 고찰해보았다.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유희적 표현경향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단순화’였으며 ‘과장’은 두 번째로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키덜트적 표현에 속하는‘미숙한 표현’과 ‘환상적 표현’이 그 뒤를 이었으며 ‘동· 식물· 사물의 이미지 도입’하거나 ‘일러스트레이션에 문자나 사진을 결합’한 사례들은 ‘입체적 표현’이 나타난 사례들과 함께 다소 그 비중이 적게 나타났다.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위와 같은 유희적 표현을 사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인체변형은 과거의 친숙한 경험의 폭에서 벗어나 형태를 의도적으로 변형시킴으로서 유머스러운 효과를 주고, 일상적 시각에서 탈피한 작가의 지배적 관점을 표출함으로서 시선을 집중시키고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형의 발견으로 인간에게 새로운 심미가치를 부여하여 예술과 삶을 풍요롭게 해준다. 둘째, 키덜트적 표현이 나타난 작품들을 감상자로 하여금 어린 시절의 환상과 꿈의 세계로 돌려보내 현실의 중압감에서 벗어나 해방감을 주고 또한 나이나 성에 대한 중압감에서 벗어나게 하여 유희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문자와 사진을 결합하거나 입체적 기법을 사용함으로서 패션메시지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질적 요소의 도입은 부조화와 의외성을 유발시켜 웃음과 재미를 준다. 본 연구가 현대사회에 확산되고 있는 유희 트렌드에 부합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창의적 표현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더 나아가 유희적 표현이 나타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들의 예술적· 상업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서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설득력 있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길 바란다.; The fashion illustration is one of the types of the art which was generated from cultural environment such as architecture, literature, music and a painting as well as it reflects inspiration and desire of society that created the fashion illustration. Thus as the time changes, there has been great change in the expressional tendency, and it has been affected by play trend which is spreading throughout modern culture such as fashion, art and space design currently. Especially, it seems very meaningful study to research · analysis what tendency is developed in playful expression at this point the fashion illustration has the best reputation ever for it's artistic · commercial value.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playful aspects through the research into characteristics and playful expressional tendency that are expressed in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Ultimately it was to seek for the plans and developmental potential that the fashion illustration works with playful expression would be used upon various fields as a persuasive means. Specific examina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hange of the times of fashion illustration were considered, and the cases which was applied to various fields were searched. Second, it figured out the concept of play and considered play-related discussions ·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ed into the background of play spread and the cases with playful expression. Third,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playful expr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shion illustration works. Various books, trend data and thesises regarding social science · culture · art · aesthetics were consulted for examination of play and the fashion illustration as a study method. This study covered from 1995, the beginning point of play trend spreading, to 2006 and the fashion magazines, designer's collections, and about 1800 pieces of work of designers both at home and abroad which has been revealed on the internet website were collected at the first stage. At the second stage, playful expression tendency in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was classified into 3 parent items and 7 sub-items based on terms from previous studies and gave them number. Besides, through this stage, 443 pieces of work which were visually difficult to classify by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 method were excluded. At the third stage,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the focus group which consisted of 5 doctors and 4 Masters in the apparel science field who have the fashion design as a detailed-major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expert group about 443 pieces of work were collected by researcher.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ultimately frequency was more than n=5, so it examined playful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 methods and the effects of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335 pieces of work(75.6% of total sample) which were selected by the majority of expert group. It showed the biggest part of playful expression tendency in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was 'simplification', and second one was 'exaggeration'. 'Immature expression' and 'fantastic expression' which are included in kidult expression were next, and cases of 'introduction image of animal · plant · object' or 'combination of text or photo with the illustration' took small part of it with the cases of 'stereoscopic expression' on it. The effects of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using playful expression as above were as follows : First, body transformation make it out of range of familiar experiences from the past, has some humorous effects by transformation on purpose, concentrate views and reinforce communication through expressing the dominant view of the designers who broke away from the ordinary view. Besides it inspires new aesthetic value to human which make people's life and art abundant by finding new style. Second, the works with kidult expression make appreciator back to the fantastic and dreamful world of childhood, so make them out of pressure of reality and give them a feeling of freedom as well as make them play out of pressure from their age and sex. Finally, it could deliver the fashion message more clearly through the combining of text or photo with the illustration and using stereoscopic method, and these different kind of introductions cause inharmony and unexpectedness that give laughter and fun. Hopefully,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creative expression of the fashion illustration which is fit for spreading play trend in modern society, furthermore recognition of the artistic · commercial value of the fashion illustration works with play expression would be higher, so it would be used in various ways as more persuasive mea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0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7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