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 0

한국어 통합적 교수를 위한 협력학습 모형 연구

Title
한국어 통합적 교수를 위한 협력학습 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 for Integrated Korean Learning
Author
박형란
Alternative Author(s)
Park, Hyung-Ran
Advisor(s)
이영숙
Issue Date
200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협력학습을 한국어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네 영역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통합해 가르치는 방식이 각 영역을 분리해 가르치는 것보다 언어능력의 습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모국어학습자와는 달리 문법사항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면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통합적 교수법이 필요하다. 통합적 교수를 위한 방안으로 협력학습 모형은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적 정확성과 유창성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다. 협력학습은 학습자와 교사간,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고 피드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확인해 보기 위해 한국어교재의 교수요목을 분석해 협력학습 모형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문법적 교수요목이나 과제 중심 교수요목에 협력학습 모형을 적용시켜 볼 수 있다. 그 중 한국어수업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는 STAD 모형, 짝활동 모형, Jigsaw 모형, 읽기 쓰기 통합 모형을 활용해 실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협력학습 모형에서는 교사가 학습자의 참여, 반복학습, 흥미를 통해 언어능력을 신장시킨다. 본 연구가 한국어 학습자의 변인을 고려해 학습자 요구에 맞는 협력학습 모형을 정착시킨 것은 아니다. 앞으로 실제 한국어 수업을 통해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한 협력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heories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to develop a practical lesson plan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KFL). Regarding the particularity of language education, it is effective to integrate two or more subjects, among four subject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rather than to teach them in separate. The integration of learning grammatical knowledge and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is especially effective for foreign learners.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s the integrative educational method, is useful to develop the linguistic fluency and accurac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Since the collaborative learning involves interactivity of both learners and teacher, and learners themselves, it is practical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ability based on a constant feedback. In order to verify this speculation, I will explore the way to apply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nalysis of syllabus in Korean textbook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to grammatical syllabus or task-based syllabu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STAD model, Pair-Work model, Jigsaw model, and CIRC model to apply in Korean classes to present pragmatic teaching syllabus. It is possible for a teacher to improve the learner's linguistic ability through the continual participation, repeated study and advanced motivation. This study doesn't contain a paradigmatic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which complies with the demand of learners reflecting various factors in actual language classes. Therefore, it remains a further study to develop concrete and various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based on empirical Korean language less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28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77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