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 0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명적 텍스트 쓰기 교수·학습 방안

Title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설명적 텍스트 쓰기 교수·학습 방안
Other Titl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Expository Text Writing for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Author
김선영
Alternative Author(s)
Kim, Sun-yeong
Advisor(s)
이영숙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설명적 텍스트 쓰기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 수학 시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일련의 평가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그 평가 방법으로는 중간고사, 기말고사와 같이 정기적으로 치루는 시험이나 강의 도중 치르는 쪽지 시험 그리고 보고서나 논문 작성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토론이나 세미나 형태의 평가 방법도 있겠지만 이와 같은 구어 텍스트 보다는 문어텍스트로 표현되는 ‘쓰기’ 결과물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도 평가에 있어서는 모국어 학습자들과 다르지 않게 적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에 익숙해져 있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듣기나 말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쓰기 기술을 구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로 대학 수학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학습자 요구 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학습자들이 쓰기를 가장 필요로 하며 동시에 어렵게 느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듯 쓰기에 대한 필요성은 절실함이 분명하나 대학 수학 목적의 학습자들을 목적에 맞게 따로 분류하여 교육할 수 없는 한국어 교육의 현실을 고려한다면 이미 갖춰진 교육과정과 교재 등의 틀을 가지고도 교실 수업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대학에 진학하여 학업 수행에 필요한 쓰기 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텍스트 유형 및 구조 등에 얼마나 노출이 되어 있는지 각 대학 한국어 교육 기관의 출판 교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여러 가지 텍스트 유형 중 설명적 텍스트는 학업 수행 시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텍스트 유형의 하나임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밝히고 교재 분석에 있어 설명적 텍스트의 빈도수나 설명적 텍스트 구조 유형의 다양성 파악에 중점을 두었다. 또, 과정 중심적 쓰기 교육의 측면에서 학습자들이 단계별로 쓰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수학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설명적 텍스트를 생산하도록 하는 과제를 제시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이 쓰기 결과물을 창출해 내기까지 일정 단계를 통해 제대로 된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으며 교재 분석의 결과로 두 가지 설명적 텍스트 유형(비교와 대조형, 문제해결형)을 추출하고 해당 텍스트 유형별로 실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특히 설명적 텍스트 구조의 이해와 그 구조 지식의 활용에 중점을 두었고, 향후 학습자가 대학에서 설명적 텍스트를 생산해 낼 때에도 텍스트 구조 지식과 쓰기 전략을 자연스럽게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창조적이고 논리적인 텍스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expository text writing for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Whether students can successfully accomplish their study or not is able to be decided through certain evaluations. As the method of these evaluations, there are many kinds of forms like midterm examination, final examination, report and thesis etc. Surely the oral evaluation method like group discussion or seminar can be used as a sort of evaluation but actually Writing outcome which is expressed in literary text rather than colloquial text is regarded as more objective evaluating standard. The evaluation standard as above is also samely adapted to the Korean learners studying at universities in Korea. In spite of this, since many Korean learners had been familiar with communication 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most of them appeal that writing in Korean is relatively difficult than listening and speaking in Korean. Actually we can ascertain the writing skill is not only the most needed but also difficult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needs' research result for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writing skill for academic purpose's Korean learners is certain as above. But at the same time we cannot help considering the difficult situation that the division of all Korean learner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purpose of studying Korean is not easy. So if we pay attention to this status, the best way to be helpful for the classwork is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even with already equippe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figure out how much the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are exposed to appropriate text pattern and structure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ir own study at the university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several selected materials among the published materials of representative Korean language institute of university. Especially,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I clarified the expository text is the most comprehensively used text pattern among various text patterns on accomplishing study and focused on figuring out the actual status of the appearance rate and the diversity of the expository text on each selected textbook. Also I tried to find out whether those textbooks are appropriately constituted to make learners aggressively practice writing strategy per each writing aspect. On the basis of the textbook analysis result as above, I stressed on the importance of making a good use of writing strategy per each writing step until learners produce final writing outcome which are adequate to the academic purpose.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is importance, I suggested the actual teaching-learning method about writing two patterns of (comparison-contrast, problem solving) expository texts which are selected through the result of textbooks analysis. At this part, I specially focused on presentation of effective ways which make learners use the knowledge of expository text structure and writing strategy. Furthermore, ultimately aimed at making Korean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produce creative and logical expository text for successive accomplishment of study at univers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4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842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