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 0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itle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uthor
박영하
Alternative Author(s)
Park, Young-Ha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08-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서 자아존중감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서 학교생활적응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처치를 받은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서 학교생활적응 하위척도인 각각의 영역(학교에 대한 일반적 적응, 교사에 대한 적응, 수업태도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 교우관계에 대한 적응, 학교행사에 대한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한 후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아동이 비교집단의 아동과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한 후,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에 대한 일반적 적응, 교사에 대한 적응, 수업태도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 교우관계에 대한 적응, 학교행사에 대한 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아동 78명으로 실험집단 39명, 비교집단 39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아동은 12회에 걸쳐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실험처치 후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집단원들에게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척도 검사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아존중감 검사는 Coopersmith(1987)의 SEI(Self-Esteem Inventory)를 윤정혜(1991)가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재사용하였다.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검사는 코리안 테스팅 센타에서 출간한 김호권의 중학생용 표준화 검사 ‘나의 학교’ 영역을 기초로 하여 문교민(1994)이 초등학생에게 이해될 수 있는 용어로 수정 보완한 질문지로서 김혜경(1999)이 사용한 것을 재사용 하였다. 이 학교생활적응 검사는 6개의 하위 영역이 있고 5점 척도로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 분석은 한국판 SPSS 12.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전-사후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여주었고,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여주었으며, 셋째, 학교생활적응의 6개의 하위요인(학교에 대한 일반적 적응, 교사에 대한 적응, 수업태도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 교우관계에 대한 적응, 학교행사에 대한 적응)에서도 유의미한 수준(p<.01)으로 변화하였으나 비교집단의 아동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검증되었다. 그러나 특정지역 초등학교 2학년 78명을 대상으로 단기간 실험이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제작자와 지도자가 동일한 사람이었기에 연구대상과 지도자를 달리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ba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Major focus is on whether such treatments has an effect on self-respect feeling and bringabout positive influence in adapting to school life. In order to study such matter,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subject of study. Subject of study: Does "Group Art Therapy"program have an effect in self-respect of children and help them adapt to their school life better? Prior to the study, I have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is to investigate such subject of study: 1.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s the treatmen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o not, will show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lf-esteem. 2. The experiment group, which receives the treatmen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o not, will show a difference i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3. The experiment group that receives the treatmen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o not, will show different affects i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all aspects (general school adaptation, attitude towards teachers & authorities, class behaviors, understanding of rules, fellowship, in acceptance of school events).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children that are in similar level and condition must be selected first through testing. Getting the homogeneity sample is most important in obtaining the unbiased data. Second, children will be divided into two groups: 1) treatment 2) no treatment. Then, the treatment will only be applied to the "treatment" group over time and collect the data from both groups. The aspects that will be measured and recorded are: a) general school adaptation, b) attitude towards teachers & authorities, c) class behaviors, d) understanding of rules, e) fellowship and f) acceptance of school events. The target samples will be selected from grade two. A total sample consisted of 78 students, 39 belong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39 belonged to the "no treatment" group.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12 sessions of the "Group Art Therapy" while the "no treatment" group received none. The data collected prior and after the experiment from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experiment that was applied in this study is re-usual of Coopersmith (1987)'s Self-Esteem Inventory (SEI) translated by Yoon-Jung-Hae. Also, the aspects that were measured regarding school adaptation were based from Kim-Ho-Kwan's survey made for high school student called "My School", that was published by the Korean Testing Center. Moon-Gyo-Min (1994) modifiedthe survey in the level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 survey was executedby Kim-Hae-Kyoung (1999). I have reused the six aspects of that were conducted in Kim-Hae-Kyoung's experiment. The aspects were measure in the 5-point scale. Data processing analysis in the experiment was done through Korean version of SPSS 12.0 for the Window Software. To draw a comparison, "T"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difference (p<.001) in the children's self-esteem. Secon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difference (p<.001) i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kills. Thirdly, the "treatment" group also showed difference(p<.01) in six aspects that were measured in regards to school adaptation (general school adaptation, attitude towards teachers & authorities, class behaviors, understanding of rules, fellowship and acceptance of school events). However, the "no treatment"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all areas. The study clearly shows that the "Group Art Therapy"have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s. But, the tes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limited area and the testing was performed only for a short period of time. Also, the experiment conductor and instructor placed in the study is an identical person. Thus, succession study is required with much more diverse samples and condition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823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1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