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 0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한 미술영재교육 연구

Title
다중지능이론에 입각한 미술영재교육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in art based on multiintelligence theory
Author
김진형
Alternative Author(s)
Kim, Jin Hyung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미술 영재란 사회문화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사회문화적 영향 속에 있는 미술 영재들의 재능이 어떻게 발달하고 있는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의 사회 문화 속에서 성장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활동에 관심을 보이고 재능을 나타내는 이들을 판별하여 관찰하고 결과로 미술영재의 특성과 지도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 도식기~ 의사실기)을 대상으로 미술 영재를 판별 한 후 미술영재아를 연령별 발달과정 관찰과 연령별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였다. 연령별 발달과정 관찰의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저학년,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생으로 참여 대상은 첫째, 어린나이부터 지속적으로 미술활동에 관심을 보였으며 미술활동에의 성취도가 내우 높은 아동, 둘째 담임교사나 미술교사 부모의 추천을 받은 아동, 셋째, 미술교사와 미술전공자에 의한 포트폴리오의 평가 결과 미술에 재능이 있다고 판단하는 아동, 넷째, 각종 대회에서 수상하거나 학교 대표로 뽑히는 아동, 다섯째, 커서 꿈이 화가, 미술교사, 만화가 등 미술관련 일을 하고 싶어 하는 아동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가드너는 인간의 지능을 9가지로 정의한다. 그 중 공간적 지능을 미술과 관련된 지능이라 하였다. 즉 시각적? 공간적 세계를 정확하게 지각하는 능력과 그런 지각을 통해 형태를 바꾸는 능력이므로 이에는 색, 선, 모양, 형태, 공간과 이런 요소 간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감수성이 포함되어 있다. 공간적 지능은 미술적 표현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간적 지능이 우수한 어린이는 미술 영재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보고 공간적 지능이 뛰어나 미술 분야에 재능과 능력을 보이고, 가능성을 가진 아동들을 조기에 판별 ? 발굴하여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지도하였다. 미술영재의 특성인 인지능력, 창의력, 표현력, 동기 및 태도의 변화를 고려한 프로그램을 지도하였다. 미술영재 어린이들에게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시각을 매개로 사고과정을 거쳐 시각적인 방법을 사용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고 조형의 요소와 원리를 이해하고 형태 구성 및 표현하는 기능이 향상되었고 발상과 표현을 구체화시켜 개선하고 보완하는 능력이 함양되었다. 미술 영재교육은 미술에 재능을 가진 아동의 성장에 개인적 행복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미술 문화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미술영재교육이 활성화를 통해 미술에 특별한 열정과 흥미를 보이는 수많은 아동들에게 다양한 미적 체험 기회와 다양한 미술 학습을 제공하여 자신의 흥미와 소질에 맞는 미술 분야를 찾아 성장 발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미술영재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미술 영재아에 관한 인식의 확산과 미술 영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일깨워져야 한다. 미술 영재아와 미술 영재교육의 연구가 활성화되어져야 할 것이다.; Because a gifted child in Art is deeply related with social culture, the study about how the talents of the artistically gifted child is developed in the influence of our social culture is needed. This research is about the specific characters of the artistically gifted child and the result of the guideline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and the result of the children brought up in our social culture who has interest and the talents in art. This treatise researched and developed the program of education of the artistically gifted child in a different age group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f Gardner after distinguishing the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for the developments based on the age group are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First, the child who has interest in art since early childhood and continuously accomplish in art. Secondly, the child who's been recommended from homeroom teacher or art teacher. Thirdly, the child who's been judged talented by art teacher and art specialist. Fourth, the child who has won the competition in art. Lastly, the child who wants to be a artist, art teacher, or cartoonist in the future. Gardner defined human intelligence in 9 ways. In these 9 ways, the spatial intelligence is connected with the art, he said. In other words, the ability of accurately sensing the sight and space and the ability to change this sense to other form is includes sensibility in relations between the color, line, form, shape and space. The spatial intelligence can be said the ability of expressing the art. This research is saying that the child who has spatial intelligence is regarded in the education of artistically gifted child, and guide the child has talents and capacity in art with the spatial intelligence in this program. Also, in this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ally gifted child which is the variations in human wisdom, originality, power of expression, motive and the attitude is considerate. In the result,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using visual angle, the ability of forming and expressing the elements and principal of the mold, and the ability of improve and supplement the idea and expression are advanced. The education of artistically gifted child is fulfilled the growth of the child who has artistically talented in personal happiness. It also contribute the developments in art culture. Thru this education, we could give various chances in artistic experience to the child who has passions and interests in art, and thru this, they can find right part of art fulfilling their interests and talents. To actively use this education, the awareness of artistically gifted child and the necessity of this education is brought to the attention. The study of artistically gifted child and the education of the artistically gifted child are revitalized.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78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97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