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 0

초정 박제가 시 연구

Title
초정 박제가 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ojung Park Je-ga's Poems
Author
박종훈
Alternative Author(s)
Park, Chong-hoon
Advisor(s)
정민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18세기 대표적인 詩論家이며 詩人인 楚亭 朴齊家(1750~1805)의 시세계 전반에 대한 탐구와 詩史的 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정은 조선 후기 지식 사회의 주동적 인물로 개혁적인 사상가이며, 혁신적인 시풍을 선도한 시인이었고 奎章閣 檢書官으로 正祖의 문화정책을 最一線에서 시행했으며 조선과 淸의 학술 및 민간 교류의 주역이었다. 초정 시의 전체상을 살피기 위해 생애와 관련해 초년, 중년, 노년으로 나누었다. 이는 인생의 궤적에 따라 관심사와 시세계가 변모했기 때문이다. 또한 ‘新奇’가 발현된 작품, 「燕京雜絶」140수과 懷人詩 128수, 「愁州客詞」79수는 각 시기 대표적인 작품으로 초정의 시사적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초년의 작품은 젊은 날의 감수성과 불우함에서 비롯된 慷慨한 情이 주를 이룬다. 젊은 날의 고독과 울분 속에 좌절하지 않고 강개한 이상을 품어 이를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그러한 기상은 속세와 일정 정도 거리를 둔 淸雅하고 淡泊한 삶의 지향으로 연결되었다. 또한 시인으로서의 예리한 통찰력과 생기발랄한 감수성이 엿보이는 작품을 산출했지만, 이 시기 대표적인 것으로는 ‘新奇’가 발현된 작품이다. ‘신기’의 추구는 초정만의 독창적이고 기발한 발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18세기 漢詩史에서도 한 자리를 차지한다. 1778년 1차 燕行 체험과 1779년 檢書官으로서의 발탁은 초정의 삶과 사상 및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서얼이라는 신분적 한계를 뛰어넘은 出仕는 연행의 체험으로 가슴에 품었던 經世家의 포부를 맘껏 발산할 수 있는 기회였다. 검서관 초기에는 출사에 대한 자부심과 이상 실현에 대한 포부로 인한 득의에 찬 작품들이 많다. 그러나 이후 잡다한 업무로 인해 물리적?심리적 여유를 빼앗겨 버리자, 내적 갈등이 불거지게 되었고 무력감과 좌절감에 빠져들었는데, 이러한 내면의 변화가 그대로 시편에 묻어난다. 초정은 총 4차례 燕京에 다녀왔다. 중국 체험은 北學思想을 다질 수 있는 초석이 되었으며, 자신의 삶과 문학 전반에 있어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 연행과정에서 쓴 작품은 모두 132題 176首다. 이들 시편에는 연행에 대한 설렘과 호기심이 담겨 있다. 또한 高句麗나 渤海의 古代史와 故土에 관심을 기울이고 지나는 공간의 조선 역사에 대한 역사체험도 이루어졌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역사에 대해 현실주의적 입장에서 포폄을 가했다. 연행은 단순한 여행이 아닌, 自我와 他者에 대한 역사체험이면서 자기 갱신의 활로였다. 초정은 3차례 연경 체험을 중심으로 선진화된 청대 문물을 직접 목도하고 가장 뇌리에 남았던 풍경을 「燕京雜絶」140수에 담았다. 청대 문물의 번화함이 편리함과 유용성을 겸비한 선진화된 기술문명과 제도에서 연유한다고 하면서 청대 문물의 수용 의지를 밝혔다. 그렇다고 해서 청대 문물에 대한 전면적인 찬탄이나 수용을 역설한 것은 아니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가치판단을 통해 청의 문물을 비판적 시각에서 재검토했다. 조선 후기 국제적인 교류와 교유가 활발해지면서 異國 문물에 대한 정보가 속속 보고 되었는데, 「燕京雜絶」처럼 다량의 연작시를 통해 감각적이면서도 강렬하게 묘사한 경우를 이전 연행사들에게서는 찾아 볼 수 없다. 산문이 아닌 짧은 詩形을 통해 이국의 풍물을 압축적으로 소개하고 있어 異國 관련 竹枝詞 계열의 작품에서도 단연 돋보인다. 조선을 비롯하여 淸 및 일본의 문인까지 총망라한 懷人詩 128수는 王士禎과 蔣士銓의 시풍이나 창작 의도를 그대로 답습한 것이지만, 청과 일본의 문인은 물론 당대 학술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조선에 알리려는 의도가 담긴 작품이다. 초정이 연작의 懷人詩體의 先鞭을 잡은 이후 金正喜, 趙熙龍, 李尙迪, 姜瑋, 羅岐, 金奭準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는데, 이들은 학문의 師承관계이거나 영향 하에 있었던 인물이다. 조선 후기 지속적으로 창작된 회인시의 연작화의 첫 자락에 초정의 懷人詩가 자리 잡고 있다. 유배 초기 작품에는 유배라는 형벌 속에서 느꼈던 개인적인 갈등이 그대로 녹아 있다. 마음의 안정을 되찾고 여유를 갖게 되면서 北關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탐색이 시작되었다. 지나는 각 도회지의 지리나 역사 등의 인문지리에 관심을 쏟았다. 유배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자기 수양을 위한 시간으로 탈바꿈시키며 현실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려 노력했다. 유배 시기 대표적인 작품은 「愁州客詞」79수다. 유배지 鍾城의 생활상이나 세시풍속 등을 보고했으며, 국경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는 조선 후기 국경과 북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詩化한 것으로 당대 풍속지로서의 사료적 가치뿐 아니라, 北塞문학의 측면에서도 한 자리를 점한다.;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world of poetry and the historical poetic value of Cho Jung Park Je-ga , one of the most famous poetical critics and a poet himself. He had led the late Josun intellectual society with reformative and innovative minds. And as the inspector of archive of Kyujang-gak, he took a great part on giving effects on King Jeongjo's 'Knowledge Management' policy and interchanging intellectual and private trades between Josun and Ching Dynasty. To look carefully at the world of his poetry, his life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early years, the middle years, and the late years. It is because his world of poetry changed by what his life track and interests has changed. Especially, each of「燕京雜絶」, 「懷人詩」, 「愁州客詞」are the representative works of Chojung. Most of his early works talks about the sensitivity of young Chojung, containing his unfortunate and indignant years. And his righteous wrath indicates his virtuous ideals and positive thoughts that has been arose to get over isolation and rage. All of thes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intention of elegant and unworldly life. Chojung has born varieties of works that shows his keen insight and vital sensibility, but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are related with "novelness(新奇)". It is only due to Chojung's original and novel idea, and it takes a place in the history of 18th century sino-korean poetry, too. His first experience as a retinue in 1778 and as an inspector of archive in 1779 influenced his life and thoughts deeply. In spite of class limitations, it was a great chance of entry in the bureaucracy for him to radiate his discretion freely. In his early years of inspector of archive, his works were at the summit of his prosperity. But once he have suffered from too much works and lost his presence of mind, his inner conflict became swelled out and he felt helplessness and frustration which entirely appears in his poetry in that period. Chojung Park Je-ga had been traveled China four times. He learned 北學思想 through these trips and then these trips became turning point to his life and literature. Early Chojung's works included thrill of butterflies and curiosity about envoys. Also he was concerned about history and territories of Kogurye and Balhea dynasty and he experienced history of Josun dynasty about passing space. Futhermore he commented history of China in point of realistic view. This retinue experience wasn't just a trip to him, but it was a history experience of finding the I and the Others' and was a way to self-renewal. After his third experience of visit to China, Chojung left his memories and sceneries of the trip in 140 poems of 「燕京雜絶」. He expressed his will to accept the Ching civilization which he thought to be derived from an advanced science culture and institution of convenience and utility. But this doesn't say that he insisted to accept everything they have. He reexamined the Ching civilization in an objective, reasonable, and critical attitude. Although there were many informations and reports about the Ching culture in that period, nothing is sensuously and strongly described more than Chojung's 「燕京雜絶」. 「懷人詩」, which deals with not only Josun but also Ching and Japanese literary artists, follows the tradition of poetry and creative intention of Chinese writers, but it comprehends the contemporary academic trends and encourages Josun learning these trends. Chojung's verse style was constantly adopted and followed by many scholars that time. In works in the early exile period, Chojung's personal conflict about his situation of being an exile. After he gained some internal peace and mental composure, he started a overall investigation on geographic feature and history of Bukkwan area. This was a kind of acceptance of the exile as his own fate and Chojung wanted to improve reality positively. The 79 poems of 「愁州客詞」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this period. This reported what he had seen in the place of exile, and he especially focused on border problems which gave 「愁州客詞」an important state not only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but also as a essential part of Buksae(北塞) Literatur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2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