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소설의 매체 전환 양상 | 최은정 |
2023 | 《옥수기》의 창작 방식 연구 | 김민혁 |
2023 | 韓⦁中 신세대 작가의 문학 비교연구 | 팡하이펑 |
2023 | 위만주국시기 양산정과 안수길의 소설 비교 연구 | 이용근 |
2023 | 이상 시의 주체와 실재의 가능성 | 이명옥 |
2023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언어와 문화 역량 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유승금 |
2023 | 김수영 시의 현대성 연구 | 김미애 |
2023 | 허수경 시 연구 | 강수원 |
2022 |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공간표상과 자아 인식 연구 | 이화영 |
2022 | 김남천 문학의 공간적 표상과 장소성 연구 | 이동재 |
2022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타자와 욕망의 양상 연구 | 조소명 |
2022 | 이시영 시 연구 | 김재홍 |
2022 | 한국어 감정 발화의 음성학적 특징 연구 | 김진만 |
2022 | 한국인과 중국인 고급 학습자의 감정 발화에 대한 음성학적 특성 비교 | 오세진 |
2022 | 한국어 이중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 손상미 |
2022 | 자연 발화에서 나타나는 말차례 교체 지점의 음성적 특징 연구 | 박초롱 |
2022 | 이청준 문학에서의 죄와 주체의 윤리 | 김효은 |
2022 | 이상 소설의 ‘희극성’ 연구 | 허진혁 |
2022 | 윤금초 시조 연구 | 표문순 |
2022 | 박인환 시 연구 | 정애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