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 0

이상규작곡 가야금중주곡<야단법석>의 분석연구

Title
이상규작곡 가야금중주곡<야단법석>의 분석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Gayageum ensemble'Yadanbeopsuk' composed by Lee, Sanggyu
Author
유신보
Alternative Author(s)
Yu, Shin Bo
Advisor(s)
양연섭
Issue Date
2008-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상규의 25현가야금4중주곡 <야단법석>을 선율분석, 리듬구성, 장구장단구조, 조현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제Ⅰ부분은 3/4박자 12마디, 4/4박자 8마디의 총20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장단은 제1마디-제16마디까지는 장단 없이 연주되며, 제17마디부터 연주 되어 진다. 박자 변화에 따라 Ⅰ-A과 Ⅰ-B로 나뉘어 분석 했다. Ⅰ-A의 빠르기는 ♩=ca 46-52, 3/4박자 12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조현법은 제1, 제3가야금이 E^(♭), 제2가야금은 D^(♭)의 2성부로 나뉘어 연주한다. e^(♭)을 중심으로 선율진행을 하다. 지속적인 근접 상, 하진행을 하며, 선율간의 사진행, 반진행을 통하여 긴장감을 유도하고 있다. Ⅰ-B는 Ⅰ-A와 빠르기는 같으나, 4/4박자의 8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조현법은 제1, 제4가야금이 E^(♭), 제2가야금은 D^(♭), 제3가야금이 A^(♭)의 3성부로 나뉘어 연주된다. 상, 하의 근접진행이나 도약진행의 선율이 전개 되며, 선율과 리듬의 조밀도가 높은 편이다. Ⅰ-B부분은 높은 성부와 낮은 성부로 구성되어 조화보다 음향의 대비가 강조 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제Ⅱ부분은 ♩=ca 60-68 빠르기로 4/4박자 20마디로 구성 되어 있다. 조현법은 제1, 제4가야금이 E^(♭), 제2, 3가야금은 D^(♭)의 2성부로 같은 성부를 대비시켜 연주 한다. 선율은 3연음부의 역진행 전개 방법과 6연음부에 의한 점묘적 진행방식을 사용하여 음악의 긴장감을 조성하고, 리듬 형태를 분산하여 진행하는 방법을 썼다. 3. 제Ⅲ부분은 ♩=ca 92-98 빠르기로 4/4박자 16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조현법은 제1, 4가야금이 E^(♭), 제2, 제3가야금은 D^(♭)의 2성부로 연주하며, E2^(♭)에서 e5^(♭)까지 음정확대와 상행진행 선율 형태며, 분산화음의 진행방식이다. 2분박과 3분박의 복합리듬형태가 나타나며, 장구 장단은 동살풀이와 휘모리장단의 리듬 변화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4. 제.Ⅳ부분은 ♩=ca 46-52 빠르기로 4/4박자 8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제1가야금의 Solo부분으로 서정적 선율로 종지구를 예비한다. A^(♭)의 성격이 명확하게 나타나며, 조성이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는 부분이다. 5. 제Ⅴ부분은 ♩=ca 120-140 빠르기로 4/4박자 4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리듬의 조밀도가 가장 큰 부분이며, 저음부의 도약진행으로 강한 리듬을 사용해서 긴장감을 고조 시킨 다음 종지한다. <야단법석>의 특징은 선율 반복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기 발전에 의한 선율진행을 하지 않고 즉 주제 선율을 두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새로운 선율을 구성해 나가는 방식으로 전개 되고 있다. 특정 음계나 조성을 선택하여 사용하지 않았으며, 주요음의 기능을 변화시켜 가며 선율 상에 나타나는 중요음을 위주로 선율을 전개하였다. 박자 진행은 보통 느리게 시작하여 점점 빨라 지며, 곡 전체의 선율을 구성한 후 다시 빠르게 종지하는 형태이다. 4대의 25현가야금이 서로 다른 선율 선을 보이며 역 진행, 사 진행 등을 위주로 진행 되어진다. 그 동안 국악 작곡가 이상규는 전통 선율 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작품으로 창작곡을 작곡해 왔다. 이에 이상규 작곡<야단법석>은 개량가야금인 25현가야금을 사용해 전통음악 선율에서 보이는 박자, 리듬형태에 서양음계의 7음정을 전통과 현대음악의 점목을 시도 하였던 것을 <야단법석> 이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63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00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