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0

초등음악 교육현장에서 국악연수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

Title
초등음악 교육현장에서 국악연수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about capabilities of practical Korean Traditional Music training for teachers in education field
Author
김선정
Alternative Author(s)
Kim, Sun Jung
Advisor(s)
이윤정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교사들의 국악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악연수는 현재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도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국악연수를 이수하고도 많은 교사들은 여전히 국악지도에 자신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한 두 번의 교사연수를 통하여 우수한 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국악 지도에 있어 정확한 지식의 전달이 이루어져야 우리 음악인 국악이 존속될 수 있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국악연수 후 연수에서 습득한 지식내용을 바탕으로 교사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현행 초등학교 3~6학년 음악교과서 내의 국악내용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악직무연수의 교재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상관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직무연수에서 다루어지는 이해영역은 국악의 전 분야를 통틀어 폭넓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초등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거의 포함하고 있고 교육현장에서의 활용이 어렵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해영역의 내용이 이론편과 실기편에 중복⋅ 분산되어 있고, 그 내용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어 교사들의 혼란이 야기된다. 국악이론 부분은 활동영역인 실기편에 적절히 배치하여 이해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며, 실기편에서 다루기 어려운 국악사와 같은 부분은 이론편에 따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국악직무연수의 가창영역 내용은 경기와 남도민요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남도민요의 경우는 그 내용이 초등 음악교과서 내용과 달라 수업 활용도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 초등 음악교과서의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 서도민요와 동부민요 등 교과서의 제재곡과 판소리⋅ 시조 등의 전통성악곡, 그리고 교사들의 국악시창과 청음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율명창 지도가 연수내용에 포함되어 교사들이 바른 율정으로 노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활동영역 중 기악영역의 국악직무연수 내용은 장구장단과 단소 실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등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어 교육현장에서의 활용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비교적 단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연수 프로그램으로 다루기에는 그 내용이 많다. 수준별, 단계별 분반이 이루어져 교사들의 수준에 따른 심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현행 초등 음악교과서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정간보와 기보체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여 교사들이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함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국악직무연수의 감상영역과 창작영역 내용은 초등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적절히 포함하고 있지 않아 교육현장에서 활용이 대부분 어렵다. 감상영역에서는 여러 가지 개념을 통해 국악감상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함과 동시에 여러 국악기를 체험하는 내용과 공연감상을 통해 미적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 창작영역에서는 서양음악적 어법에서 벗어나 우리 국악의 어법으로 창작된 곡을 정간보로 기보할 수 있는 능력과 부를 수 있는 능력을 지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영역 외에도 놀이를 통해 국악의 여러 분야를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모하여 국악연수 프로그램으로 도입한다면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악연수를 받은 교사들은 그렇지 못한 교사들에 비해 국악지도능력은 향상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내용이 무엇이며 교사들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연수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악직무연수교재의 내용과 초등음악교과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토대로 새로운 국악연수 프로그램의 대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이 연구를 토대로 교육현장에서 바로 접목할 수 있는 국악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3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8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