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 0

Samuel Barber 의 < Excursions, Op.20 > 연구

Title
Samuel Barber 의 < Excursions, Op.20 >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 Excursions, Op.20 > by Samuel Barber
Author
한윤미
Advisor(s)
조선희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 이전까지 음악의 중심지는 유럽이었으나, 이후 그 중심은 미국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두 차례에 걸친 세계대전으로 막강한 국력을 가지게 된 미국은 다른 분야 와 마찬가지로 음악에도 아낌없는 지원을 하게 되고, 유럽의 많은 유명 음악가들이 전쟁을 피해 자유의 땅 미국으로 망명하게 되면서 미국 음악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시기 유럽에서는 표현주의, 원시주의, 국제주의, 민족주의, 고전주의, 실험주의 등 다양한 형태의 사조들이 성행하고 있었으나 20세기의 미국 작곡가들은 이러한 양식들 뿐 아니라, 유럽음악에서 받은 영향에 미국의 민속음악이나 재즈와 같은 요소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작곡기법도 사용하였다. 이는 미국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채로 표현되며 후에 역으로 유럽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작곡기법을 사용한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현대 작곡가인 사무엘 바버(Samuel Barber, 1910-1981)는 신 낭만주의자로써 기존의 고전적이고 보수적인 형식을 바탕으로 낭만주의적인 선율을 사용하였고, 동시에 그의 음악 곳곳에 당시 미국에서 유행하는 민속음악이나 재즈의 요소를 그의 음악에 적용하며 그만의 특색 있는 작곡을 하였다. 그러나 12음 기법, 복리듬(polyrhythm), 복화성(polyharmony), 복조성(bitonality)과 같은 진보적인 요소들도 함께 사용함으로써 20세기 음악적인 흐름에도 동참했다. 본 논문에서는 바버의 피아노 모음곡 (1944)을 분석함으로써 곡의 특징과 그가 사용했던 미국의 민족주의적인 요소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4곡의 작은 모음곡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곡은 각각의 악장에 다양한 민속적 선율과 당시의 유행하던 재즈 스타일이 사용되었다. 제 1곡은 부기우기(Boogie-Woogie)로써 왼손의 고집스럽게 반복되는 오스티나토(ostinato bass) 위에 오른손의 선율 변주가 연주되고 당김음(syncopation)을 사용하여 익살스럽고 자유분방함을 느끼게 해 준다. 제 2곡은 블루스의 요소를 적용한 곡으로, 장음계에서 제 3도, 5도, 7도를 반음 내린 블루 노트의 사용은 장, 단조의 성격을 불명확하게 하여 현대적 느낌과 풍부하고 색채감 있는 음악적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제 3곡은 카우보이 노래에 의한 변주곡으로 서정적이고 목가적인 주제선율이 4마디 단위로 변주되어가며 진행되는데 바버의 낭만성이 돋보이는 곡이다. 제 4곡은 농가무(Barn Dance)를 양식화한 것으로써 아코디언(arccodian), 피들(fiddle), 하모니카(harmonica)와 같은 민속 악기를 연상시키는 선율들은 당김음을 사용하고 피아노를 타악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경쾌한 민속 춤곡의 느낌을 한껏 더해준다. 이와 같이 은 바버의 신 낭만주의자로서의 낭만성과 다양하게 사용된 미국의 민속음악 요소들로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풍부하게 느낄 수 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406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14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