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5 0

남·북 공동제작 드라마『사육신』제작과정 및 수용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남·북 공동제작 드라마『사육신』제작과정 및 수용 특성에 관한 연구
Author
나상엽
Advisor(s)
정대철
Issue Date
2009-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V역사극『사육신』은 남과 북이 하나의 역사와 하나의 언어, 풍습을 가진 하나의 민족임을 확인하는 의미와 함께 민족 공동체 의식을 되살릴 수 있는 남․북 TV드라마의 첫 공동제작이라는 의의를 가지고 드라마를 제작·방송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TV역사극『사육신』의 KBS를 통한 남한 국내 방영이 갖는 의미를 찾아보고, 남북 방송교류에 미칠 영향과 남북한 간의 TV드라마의 차이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사육신』의 남북한 공동제작이 왜 남북한 간의 방송교류 및 방송 소재로 적합한 것인지와 남북 최초의 TV역사극『사육신』의 공동제작 및 방송을 통해서 나타난 국내 시청자들의 수용 특성에 관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아래의 세 가지로 정했다. 첫째, 『사육신』의 제작 과정과 북한의 드라마 제작 환경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사육신』의 작품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셋째, 『사육신』에 대한 국내 시청자들의 반응은 무엇인가?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남북한 방송 교류와 관련하여 남북한 TV드라마를 중심으로『사육신』의 전 제작과정을 제시·기록 및 북한 드라마 제작 환경의 특성을 북한 출처의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KBS를 통해 방송된 『사육신』의 작품 내용과 작품의 대사 속에 나타난 남북한 어휘의 차이점, 북한연기자들에 대한 성격 및 이미지를 분석해보며 KBS홈페이지에 올라온 네티즌들의 의견에 대한 수용자 분석을 하고자 한다. 남북 최초의 드라마 공동제작인 역사적 의미는 방송사(史)적으로 여러 가지 특징들을 남긴 게 또한 TV역사극『사육신』이다. 북한 최초의 디지털 방식 및 동시녹음으로 제작을 하였고, 남북 방송작가들이 처음으로 만나 공동 수정 및 집필을 한 드라마이다. 이어 남북의 드라마 제작 관련 기술팀들이 처음 만나 상호 기술 협의를 통하여 KBS의 방송기술이 북한에 전해지는 계기가 됐다. 『사육신』에는 북한 음악 30여곡이 삽입되어 북한드라마에 대한 남한의 북한 음악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특히 『사육신』의 중요한 특징은 북한 최초로 정(正)사극 드라마를 제작하였다는 점이다. TV역사극『사육신』은 KBS가 제작비를 제공하고 북측에 북한지역 방영권을 허가 하였으며, 저작권은 KBS가 소유하는 조건으로 합의하였다. 이는 북한의 최초의 영상물에 대한 저작권을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사육신』을 남북한 공동으로 제작하는데 따른 협의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남북 간 커뮤니케이션 부족으로 상호 오해가 자주 발생하였고, 방송 제작 시스템과 제작 관행이 달라 협의 기간이 길어졌다. 신속한 만남을 통해 협의할 수 있는 여건이 부재하였고, 평양, 개성, 금강산에서의 만남 등 방북 절차가 복잡하였다. 또한 합의서 계약체결 과정에서도 제작비 산정의 기준 미비로(최초이기 때문)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결국 드라마 제작 기획부터 최종 완성물 이관까지 남북 간의 여러 변수가 발생함에 따라 상호 만남과 교류의 제한으로 제작기일 및 부대비용이 증가했다. TV역사극『사육신』의 국내방영이 갖는 의미는 남북 간의 방송교류에 있어서 역사적인 사건임에 틀림없다. 남북 공동제작 드라마로서 남북 정서 교류를 위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조선 초기의 역사를 소재로 해 남과 북이 하나의 역사와 언어, 풍습을 가진 하나의 민족이라는 점을 확인시킨다는 기획의도를 부각시키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남한 시청자들은 북한식 연기와 대중문화를 제대로 접해 보지 못했기에 TV역사극『사육신』은 문화적 동질감을 회복하는 첫 단계인 만큼, 향후 이질감을 극복하며 시청자들에게 북한 드라마를 어떻게 접근시켜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여 남북예술 분야에서 남북한 공동제작의 첫 실험 드라마로 자리매김 시키고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74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2286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