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 0

이메일 교환활동이 영어 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이메일 교환활동이 영어 쓰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Email Exchange on Korean Learners' English Writing
Author
윤지령
Alternative Author(s)
Yoon, Ji Ryeong
Advisor(s)
이다미
Issue Date
2010-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에게 이메일 교환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MC이론(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의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CMC는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의사소통을 뜻하며 특히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효과에 관한 주장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총 8주간의 이메일 교환을 실시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이메일 텍스트를 바탕으로 설문지 분석, 코퍼스 분석, 그리고 T-unit과 오류분석을 통한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메일 교환이 작문실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학습자들이 75%가 넘었으며 흥미를 높여주었다는 학습자들도 거의 60%였다. 둘째, WordSmith 5.0 프로그램의 WordList를 사용하여 측정한 어휘 다양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셋째, 이메일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T-unit은 이메일교환 첫주에는 8.99였지만 마지막 이메일에서는 11.26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한 T-unit에 사용하는 단어의 개수는 늘어났다. 넷째, 사전·사후 쓰기능력평가시험을 통해 가장 많은 발전을 보인 학습자 2명을 통한 오류분석은 시제 오류, 수의 오류, 주어동사 수의 불일치 오류, 어휘 오류 네 가지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의미에 초점을 두고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올바른 형태의 피드백을 주어도 알아차리기 힘들어했지만 어휘오류와 주어동사 수의 불일치 오류에서는 상대방의 피드백을 인식하고 올바른 형태의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총 8주간의 이메일 교환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T-unit개수는 증가되므로 문법이 복잡해졌다. 그리고 학습자들은 대체로 상위 언어적 인식을 하기 어려웠지만 특정한 오류에 있어서는 인식을 해서 올바른 표현을 사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휘 다양도 부분에 있어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어휘 습득이 일어났다고 하기는 어렵다. 또 학습자들은 대체로 이메일교환활동을 통해 작문실력이 향상했다고 느꼈으며 또한 흥미를 높여주어서 계속 이메일 교환을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CMC를 통한 의사소통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선 다음 사항을 염두 해야 한다. 첫째, 영어는 전 세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용어이다. 따라서 이메일 교환상대를 원어민으로만 제한하지 말고, ESL 또는 EFL학습자와의 전자우편을 권장해야 한다. 둘째, CMC를 사용하면 학습자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며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언어 사용 기회를 제공해 줌에 따라 교실수업에서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셋째, 글쓰기 지도의 일환으로 자주 사용되는 말뭉치나 연어 등을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등의 방법을 통한 교수자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주요어: 이메일, CMC이론, T-unit, 오류, 코퍼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33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40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