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 0

한국 <양주별산대놀이>와 중국 <남봉나희>의 비교연구

Title
한국 <양주별산대놀이>와 중국 <남봉나희>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ison Research Between Korean Yangju Byeol Sandae Mask Dance and Chinese Nanfeng Nuo Dance
Author
진우파
Alternative Author(s)
CHEN YUBO
Advisor(s)
이상호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나례(儺禮)를 핵심으로 하는 나문화(儺文化)는 나무(儺舞)ㆍ나희(儺戱)ㆍ나예(儺藝)ㆍ나속(儺俗)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어진다. 나문화의 역사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그런 만큼 빗물질문화재(非物質文化財)로서 생명력이 가장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나문화는 원고시대 맹수를 쫓는 무술(巫術)로부터 기원했고, 자연숭배ㆍ토템숭배ㆍ조상숭배ㆍ귀신숭배ㆍ무술숭배 등으로 발전해왔다. 하나라와 상나라(夏ㆍ商) 시대에 생겼고 주나라(周) 때까지 나례의 규범이 형성되었다. 상고 노예 시대에 “國之大事, 在祀與戎”이라는 말이 있었다. 제사는 나라의 가장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국가 제사인 나례는 가장 큰 권위성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한 해에 봄ㆍ여름ㆍ가을 세 번 제사를 지냈다. 그리고 나례는 나라가 주관하는 국나(國儺) 혹은 국인나(國人儺)가 있고, 백성들이 행하는 향나(鄕儺) 등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나례의식(儺禮儀式)은 국가의 장벽을 넘어 아시아 여러 나라로 널리 퍼졌다. 예컨대, 한나라(漢) 때 베트남에 전파되었으며, 수나라(隋) 때 백제 연예인 미마지(味摩之)는 중국 오(吳)나라에서 형초가면기악무(荊楚假面伎樂舞), 즉 나무(儺舞)의 한 종류를 배우고 돌아온 후 612년(무왕 13)에 일본으로 귀화(歸化)하여 사쿠라이(櫻井)에서 소년들에게 기악무를 가르쳤다. 결국 베트남ㆍ한국ㆍ일본도 중국 나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그것을 더욱 다채롭게 발전시켰다. 예를 들면, 베트남의 향나(鄕儺), 한국의 산대놀이(山臺), 일본의 추나(追儺)와 두타(豆打) 등이 바로 그것이다. 지연적(地緣的)으로 보면 한반도는 중국 본토와 가장 가까워서 나문화의 유사성이 많지만, 수천 년의 세월이 흐르는 과정에서 자국문화와 결합됨으로써 한국적인 나문화가 형성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궁중 궁나(宮儺)가 있었고, 민간에는 향나가 있었다. 조선(朝鮮) 후기에는 궁중나례가 쇠퇴한 반면에 민간의 산대나희(山臺儺戱)는 점점 확산되고 발전되었다. 이것이 바로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원형이다. 한국에서 현존 나례는 5개 정도로 분류된다. 첫째, 나례 나속(儺禮 儺俗) 및 변화과정; 둘째, 무나(巫儺; 셋째, 농악나(農樂儺); 넷째, 가면극 또는 나희; 다섯째, 사자춤. 이들 가운데 나례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은 것은 바로 가면극이다. 중국에도 귀주동인지역(貴州銅仁地域)의 덕강나당희(德江儺堂戲 ),강서남봉지역(江西南丰 地域)의 나무(儺舞),광서(廣西) 모남족(毛南族)의 사공희(師公戲 ),사천광원(四川廣元) 사전향(射箭鄉 )의 제양희(提陽戲 ) 등 나희의 종류가 많다. ‘楊州古邑爲 山臺都監之 本所’라는 기록을 근거로 할 때, 한국 가면극의 하나인 <양주산대놀이>와 <중국나희>의 비교연구는 그 타당성과 의미 있다고 보아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래서 이 논문은 중국 나희(儺戱)의 본고장인 <남봉나희(南丰 儺戱)>를 선택하여 한국 <양주별산대놀이>를 연구 비교하겠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141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5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