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 중국 남북 방언권 차이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초성 /ㄴ/, /ㄹ/ 습득 양상 연구 | 조령 |
2023 | 한국 소설 <바닥>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장몽 |
2023 | 한국 소설 <내 이웃의 안녕>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이완진 |
2023 | 한국 소설 <쇼핑 좋아하세요?>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이서서 |
2023 | 김혜순 초기 시에 나타나는 응시 연구 | 이가인 |
2023 | 한국 소설 ˂달팽이를 길러야 할 때˃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양초 |
2023 | 한국어 ‘주다’, ‘-에게’, ‘…에게 …주다’와 중국어 대응표현 ‘给(줄 급)’의 대조 연구 | 소소효 |
202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원인, 이유 연결 표현 사용 및 교재 실태 분석 | 사제 |
2023 | 윤흥길과 밥시 싯화의 소설에 나타난 분단 트라우마 연구 | 쿠마리 스라와니 |
2023 | 한국 소설 ˂소품˃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채성미 |
2023 |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신체 관용표현 대조 연구 ‘입-miệng을 중심으로’ | 짠티레항 |
2023 | 임철우 소설에 내재된 자유와 윤리의 문제 | 박소연 |
2023 | 한국 소설 “오래전 김숙희는”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도문예 |
2023 | 김춘수 시에 드러난 회화의 수용 양상 연구 | 김지원 |
2023 | 한·중 마찰음 /h/에 관한 음향음성학적 대조 연구 | 김우신 |
2023 | 한중 영화제 신인상 수상 소감의 감사 화행 비교 연구 | 경가조 |
2023 | 「사유악부(思牖樂府)」의 문헌비평 | GAO BO |
2023 | 이성복 초기시의 기독교적 세계관과 구원의 양상 연구 | 최세웅 |
2023 | 배수아 · 최은영 소설에 드러나는 ‘퀴어적 사유’와 ‘퀴어 문학’의 확장 가능성 | 정민진 |
2023 | 한국 소설 <성묘>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 장자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