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 0

중국 여성소비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

Title
중국 여성소비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
Other Titles
Purchasing Behaviors of Clothing Product by Chinese Woman Consumers’ Social-Economic Variables
Author
남예란
Advisor(s)
박재옥
Issue Date
201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개혁개방 이후 경제의 급속한 발전으로 중국은 거대한 내수시장으로 급성장하여 많은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시장조사 없이 성급하게 뛰어든 많은 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거나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중국에 진출 전 먼저 중국 내수시장, 중국 소비자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소비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여성소비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라 의류제품 구매행동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한국의류업체의 성공적인 중국 마케팅 전략을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적 조사를 위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북경에 거주는 20~50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12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방법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ANOVA 와 사후검증으로 던컨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여성소비자의 연령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구매동기, 정보원,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의복구매동기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의복디자인 및 계절적응 동기, 충동구매 동기, 자기 과시적 동기, 의복 실리적 동기가, 연령이 많을수록 타인영향 동기, 경제적 요인 동기, 광고 및 판촉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연령이 젊을수록 내부탐색과 TV를 통한 의류광고, 매장의 디스플레이나 점포 내 진열된 옷과 같은 비인적 정보원을, 연령이 많을수록 인적 정보원과 라디오, 신문을 통한 의류광고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에서는 연령이 젊을수록 내재적 기준과 가격, 유행성, 다른 의복과의 조화, 개성표현, 상황에서의 적절성과 같은 외재적 기준, 연령이 많을수록 연령, 신분의 적합성과 같은 외재적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여성소비자의 교육수준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구매동기, 정보원,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의복구매동기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의복디자인 및 계절적응 동기, 충동구매 동기, 경제적 요인 동기, 자기과시적 동기, 어떤 장소에서도 무난하게 어울릴 수 있어서와 같은 의복실리적 동기가, 학력이 낮을수록 타인영향 동기, 광고 및 판촉 동기, 튼튼해 보여서와 같은 의복 실리적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내부탐색, 인적 정보원, 비인적 정보원을, 학력이 낮을수록 라디오, 신문, TV를 통한 의류광고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내재적 기준과 외재적 기준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여성소비자의 직업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구매동기, 정보원,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의복구매동기에서는 직업에 따라 학생인 경우 의복디자인 및 계절적응 동기, 충동구매동기, 경제적 요인 동기, 단골 매장의 판촉에 의해서와 같은 광고 및 판촉 동기, 의복 실리적 동기, 사무직인 경우 옷에 딸린 사은품이 좋아서, 우편 배달 광고를 보고와 같은 광고 및 판촉 동기, 자기과시적 동기, 전문/기술직인 경우 타인영향 동기, 경제적으로 여유 있어 보이기 위해서와 같은 자기과시적 동기, 자영업인 경우 경제적으로 여유 있어 보이기 위해서와 같은 자기과시적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학생인 경우 내부탐색, 인적 정보원, 인터넷을 통한 의류광고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 판매/서비스직인 경우 인터넷을 통한 의류광고, 패션회사의 카탈로그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 사무직인 경우 라디오를 통한 의류광고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 전문/기술직인 경우 인터넷, 라디오를 통한 의류광고, 패션회사의 카탈로그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의복평가기준에서는 학생인 경우 내재적 기준, 외재적 기준, 판매/서비스직인 경우 스타일, 소재, 내구성과 같은 내재적 기준, 다른 의복과의 조화와 같은 외재적 기준, 사무직인 경우 스타일, 소재와 같은 내재적 기준, 브랜드 명성, 다른 의복과의 조화와 같은 외재적 기준, 자영업인 경우 내구성과 같은 내재적 기준, 개성표현, 제조국가와 같은 외재적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여성소비자의 경제적 변인(가계 총 소득, 의복 지출비)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구매동기, 정보원,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의복 구매동기에서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의복디자인 및 계절적응 동기, 충동구매 동기, 자기과시적 동기, 가계 총 소득이 낮을수록 경제적 요인 동기, 광고 및 판촉 동기, 의복 실리적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비인적 정보원을, 가계 총 소득이 낮을수록 내부탐색, 인적 정보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에서는 가계 총 소득이 높을수록 내재적 기준, 외재적 기준을, 가계 총 소득이 낮을수록 가격과 같은 외재적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구매동기에서는 의복 지출비가 높을수록 의복 디자인 및 계절적응 동기, 충동구매 동기, 자기과시적 동기가, 의복 지출비가 낮을수록 경제적 요인 동기, 의복실리적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의복 지출비가 낮을수록 내부탐색, 인적 정보원, 비인적 정보원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평가기준에서 의복 지출비가 낮을수록 내재적 기준, 외재적 기준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여성소비자의 결혼여부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구매동기, 정보원,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의복구매동기에서는 결혼여부에 따라 미혼자는 기혼자보다 의복 디자인 및 계절 적응 동기, 충동구매 동기, 경제적 요인 동기, 의복 실리적 동기가, 기혼자는 미혼자보다 타인영향 동기, 광고 및 판촉 동기, 자기과시적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미혼자는 기혼자보다 비인적 정보원, 기혼자는 미혼자보다 내부탐색과 인적 정보원, 신문을 통한 의류광고와 같은 비인적 정보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에서는 미혼자은 기혼자보다 내재적 기준, 다른 의복과의 조화, 개성표현과 같은 외재적 기준, 기혼자는 미혼자보다 세탁 및 관리의 용이성과 같은 내재적 기준, 가격, 연령, 신분의 적합성과 같은 외재적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여성소비자의 주관적 사회계층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행동(구매동기, 정보원, 평가기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의복구매동기에서는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의복 디자인 및 계절적응 동기, 유행추구 동기, 충동구매동기, 타인영향 동기, 광고 및 판촉 동기, 자기과시적 동기가, 주관적 사회계층이 낮을수록 경제적 요인 동기, 의복실리적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내부탐색, 비인적 정보원, 주관적 사회계층이 낮을수록 인적 정보원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평가기준에서는 중국 여성소비자의 주관적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내재적 기준과 외재적 기준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중국 여성소비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라 의류제품 구매행동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중국 여성소비자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연령, 교육수준, 직업, 경제적 변인, 결혼여부, 주관적 사회계층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중국 여성소비자를 타겟으로 하는 한국 의류기업들이 성공적인 중국 진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91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54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