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1 0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아이스하키선수들의 무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아이스하키선수들의 무산소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to anaerobic exercise capacity in ice hockey players
Author
김정헌
Alternative Author(s)
Kim, Jung Hun
Advisor(s)
오상덕
Issue Date
2011-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무산소성 능력, 코티졸 및 테스토스테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2주 동안 WP 9명, WPG 9명의 아이스하키 선수들을 대상으로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트레이닝 전·후에 따른 요인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1-RM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플라이오메트릭 프로그램은 동작을 익숙케 하기 위하여 동영상과 시범자의 동작을 보며 1주일간의 연습 후 피험자 18명을 무작위로 WG과 WPG로 분류하여 12주간 주당 3일씩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윙게이트 검사와 채혈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윙게이트 테스트를 통해 나타난 그룹별 Mean Power의 변화를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WG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632.44±56.85)보다 트레이닝 12주 후(657.00±48.8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향상 효과를 나타났고, WPG는 운동 전(662.77±57.10)보다 트레이닝 12주 후(722.11±54.1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향상 효과를 나타났다. 2) 윙게이트 테스트를 통해 나타난 그룹별 Peak Power의 변화를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WG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969.66±54.90)보다 트레이닝 12주 후(1006.88±20.8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향상 효과를 나타났고, WPG는 운동 전(861.33±95.77)보다 트레이닝 12주 후(943.44±84.2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향상 효과를 나타났다. 3) 윙게이트 테스트를 통해 나타난 그룹별 Rate to Fatigue의 변화를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WG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17.30±3.06)보다 트레이닝 12주 후(19.00±3.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5) 향상 효과를 나타났고, WPG는 운동 전(20.38±1.84)보다 트레이닝 12주 후(19.76±2.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혈액분석을 통해 나타난 그룹별 Cortisol의 변화를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WG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11.87±3.954)보다 트레이닝 12주 후(8.82±3.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WPG는 운동 전(9.57±4.31)보다 트레이닝 12주 후(7.81±3.3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혈액분석을 통해 나타난 그룹별 Testosterone의 변화를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WG는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398.43±147.14)보다 트레이닝 12주 후(400.11±134.7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WPG는 운동 전(453.81±103.65)보다 트레이닝 12주 후(441.16±119.2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스포츠 종목의 특이성에 맞추어 웨이트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적절히 사용한 훈련프로그램은 근 활동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스포츠 현장에서의 체력향상과 기술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12주간 처치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코티졸과 테스토스테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지만 두 그룹 모두 약간의 감소 경향이 있었다. 아이스하키 선수들에 있어서 경기력이 좌우되는 무산소성 능력인 평균파워, 최대파워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이고 피로지수에서도 감소효과를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무산소성 능력 향상에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078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69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