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 0

Bartó

Title
Bartó k 작품에서의 8음군 기법

Title
k 작품에서의 8음군 기법
Other Titles
Various Uses of Octachord in Bartó k:On Transpositional Partitions and Their Application to Music Analysis
Author
문선미
Alternative Author(s)
Moon Seon Mi
Advisor(s)
박재성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8음군 기법이 자주 인용되는 Bartó k의 무조적 작품을 중심으로 8음군의 유형과 완성 과정, 분할 방법, 그리고 분할 방법이 곡의 형식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논의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Richard Cohn이 그의 논문 “Octatonic Strategies: A Motivic Approach”에서 확립시킨 8음군 속성을 발전시킨 내용에 전적으로 바탕을 두고 있다. Cohn은 이 논문에서 8음군 속성의 형성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 시킨 후에 이를 Bartó k의 작품 분석에 적용시키고 있는데 필자는 이 내용을 보다 폭넓게 해석하여 8음군 속성의 형성 과정을 자세히 밝히고 작품 분석에 적용시키는 과정과 그 결과를 확대시켰다. 작품 분석에 앞서 8음군은 이도적 분할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논리적 전개를 이루고 여덟 가지의 정의로 확립된다. 여기서 확립된 정의는 Bartó k의 Mikrokosmos IV, “From the Island of Bali”와 Mikrokosmos VI, “Minor Seconds, Major Sevenths,” 그리고 Sonata for Two Pianos and Percussion, 1악장의 세 작품을 통해 적용된다. 8음군(집합명 8-28)은 반음과 온음을 번갈아 사용하는 음열로서 다른 28개의 8음군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닌다. 즉 다른 음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두 배의 분할력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부분 집합들로 분할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Bartó k의 다양한 무조적 작품 안에서 8음군(8-28)의 집합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이 세 작품에서는 모두 8음군(8-28)에 기초하여 작곡되었다. 그러나 전체 악곡에서 8음군을 다루는 기법이나 분할방법 등이 다르게 전개된다. 따라서 각 악곡에 나타난 8음군의 종류와 주요 음군, 분할방법, 이도관계 등을 중점으로 논의 하겠다. 특히 대 규모 악곡인 Sonata for Two Pianos and Percussion, 1악장에서는 8음군이 각 성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거나 다양한 성부에 흩어져 있기 때문에 분석의 범위가 보다 복잡하고 함축적이다. 따라서 작품 내에서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8음군 뿐 아니라 8음군의 잠재성을 인식하여 8음군의 다양한 기법과 가능성을 밝혀낼 수 있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8음군의 구조를 밝히는 과정에서 이도적 분할과 이도적 결합 방법을 이해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Bartó k의 세 작품 이외에 다른 작곡가들의 다양한 작품에서도 8음군 기법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분석에의 실현이 논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임을 확신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75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28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