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3 0

대수술에서 전신마취 중 사용되는 수액의 구성 성분이 혈액 내 전해질 및 삼투압과 말초 혈액 순환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수술에서 전신마취 중 사용되는 수액의 구성 성분이 혈액 내 전해질 및 삼투압과 말초 혈액 순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n Serum Electrolytes, Osmolality, and Peripheral Circulation in Patients by the Composition of Used Fluids during General Anesthesia for Major Surgery
Author
연제택
Advisor(s)
유희구
Issue Date
2012-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대수술을 실시하기 위한 마취 시 적절한 수액요법을 실시하여 환자의 심박출량의 유지와 내장 기관의 말초 관류압을 유지하는 것은 수술 후 환자의 예후 결정에 중요하다. 수술 중 흔히 사용할 수 있는 수액은 크게 두 종류로 수액에 전해질만이 첨가된 정질(crystalloid) 제재와 수액에 전해질 외에 합성 전분(starch)이 첨가된 콜로이드(colloid) 제재가 있다. 그러므로 대수술 환자에서 수액의 종류에 따라 환자의 혈액구성 및 전해질에 대한 영향과 말초혈액의 관류 속도 및 관류효과에 대한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총 81명의 환자를 세 군으로 분류하여 A군은 수술 시작부터 병실로 이송이 이루어질 때까지 Lactated ringer’s(LR)용액(CJ 제일제당, 대한민국)만 투여하였다. B군은 수술 시작 직후 LR용액을 콜로이드 용액 중 전분을 균형전해질 용액에 첨가한 Hextend용액(CJ 제일제당, 대한민국)으로 대체하여 1000 ml 정주 후 다시 LR용액으로 대체하여 병실로 이송될 때까지 LR용액이 투여하였다. C군은 수술 시작 직후 LR용액을 콜로이드 용액 중 전분을 생리식염수에 첨가한 Voluven용액(Fresenius Kabi, 대한민국)으로 대체하여 1000 ml 정주 후 다시 LR용액으로 대체하여 병실로 이송될 때까지 LR용액이 투여되었다. 모든 환자는 동맥혈액과 정맥혈액에서 혈액가스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기는 마취 시작 직후(T1), 마취 시작 후 3시간(T2), 회복실(post anesthesia care unit; PACU) 입실 후 30분(T3)이었다. 수술중 투여된 수액량에 따른 혈액 희석효과는 HES(hydroxyethyl starch)가 포함된 수액(Hextend, Voluven)에서 오래 지속되었으며 Voluven군에서 혈액 내 칼륨과 칼슘의 농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사용한 수액의 구성은 혈액의 혈당, 젖산 농도 그리고 염기과다 및 삼투압농도(osmolarity)의 구성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수액의 투여량에 따른 음이온차이(anion gap)과 삼투압농도의 변화는 생리식염수를 용매로 쓴 수액에서 의의는 있었으나 임상적인 의미는 없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 중 산소추출율은 T1, T2, T3에서 A군에서는 11.41 ± 4.81에서 15.26 ± 5.03으로 증가하였으며 다시 17.56 ± 3.83으로 증가하였다. B군에서는 12.42 ± 3.51이 14.16 ± 3.83으로 증가 하였으며 15.06 ± 4.49로 증가 하였다. C군에서는 12.31 ± 4.47이 13.00 ± 4.97로 증가한 후 17.15 ± 4.93으로 증가하였다. ΔPCO₂/C(a-cv)O₂는 T1, T2, T3에서 A군은 2.86 ± 0.89에서 2.39 ± 0.77로 감소하였고 2.31 ± 0.88로 변동하였으며 B군에서는 2.41 ± 1.51에서 2.80 ± 0.95로 증가하였으며 다시 2.53 ± 1.03으로 감소하였다. C군에서는 2.25 ± 1.36이 2.82 ± 0.81로 증가하였으나 2.53 ± 1.13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대수술에서 투여된 수액의 구성은 환자 혈액의 희석효과와 전해질의 구성에는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말초조직의 산소 추출율은 사용된 수액에 의한 희석효과로 증가 하였다. 그리고 ΔPCO₂/C(a-cv)O2는 LR용액이 투여된 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수액 주입에 의한 혈색소 감소 정도가 콜로이드가 투여된 다른 군보다 적어 ΔPCO₂/C(a-cv)O2를 감소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8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7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