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희구-
dc.contributor.author연제택-
dc.date.accessioned2020-03-17T16:30:41Z-
dc.date.available2020-03-17T16:30:41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854-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18771en_US
dc.description.abstract대수술을 실시하기 위한 마취 시 적절한 수액요법을 실시하여 환자의 심박출량의 유지와 내장 기관의 말초 관류압을 유지하는 것은 수술 후 환자의 예후 결정에 중요하다. 수술 중 흔히 사용할 수 있는 수액은 크게 두 종류로 수액에 전해질만이 첨가된 정질(crystalloid) 제재와 수액에 전해질 외에 합성 전분(starch)이 첨가된 콜로이드(colloid) 제재가 있다. 그러므로 대수술 환자에서 수액의 종류에 따라 환자의 혈액구성 및 전해질에 대한 영향과 말초혈액의 관류 속도 및 관류효과에 대한 영향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총 81명의 환자를 세 군으로 분류하여 A군은 수술 시작부터 병실로 이송이 이루어질 때까지 Lactated ringer’s(LR)용액(CJ 제일제당, 대한민국)만 투여하였다. B군은 수술 시작 직후 LR용액을 콜로이드 용액 중 전분을 균형전해질 용액에 첨가한 Hextend용액(CJ 제일제당, 대한민국)으로 대체하여 1000 ml 정주 후 다시 LR용액으로 대체하여 병실로 이송될 때까지 LR용액이 투여하였다. C군은 수술 시작 직후 LR용액을 콜로이드 용액 중 전분을 생리식염수에 첨가한 Voluven용액(Fresenius Kabi, 대한민국)으로 대체하여 1000 ml 정주 후 다시 LR용액으로 대체하여 병실로 이송될 때까지 LR용액이 투여되었다. 모든 환자는 동맥혈액과 정맥혈액에서 혈액가스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기는 마취 시작 직후(T1), 마취 시작 후 3시간(T2), 회복실(post anesthesia care unit; PACU) 입실 후 30분(T3)이었다. 수술중 투여된 수액량에 따른 혈액 희석효과는 HES(hydroxyethyl starch)가 포함된 수액(Hextend, Voluven)에서 오래 지속되었으며 Voluven군에서 혈액 내 칼륨과 칼슘의 농도에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사용한 수액의 구성은 혈액의 혈당, 젖산 농도 그리고 염기과다 및 삼투압농도(osmolarity)의 구성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수액의 투여량에 따른 음이온차이(anion gap)과 삼투압농도의 변화는 생리식염수를 용매로 쓴 수액에서 의의는 있었으나 임상적인 의미는 없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 중 산소추출율은 T1, T2, T3에서 A군에서는 11.41 ± 4.81에서 15.26 ± 5.03으로 증가하였으며 다시 17.56 ± 3.83으로 증가하였다. B군에서는 12.42 ± 3.51이 14.16 ± 3.83으로 증가 하였으며 15.06 ± 4.49로 증가 하였다. C군에서는 12.31 ± 4.47이 13.00 ± 4.97로 증가한 후 17.15 ± 4.93으로 증가하였다. ΔPCO₂/C(a-cv)O₂는 T1, T2, T3에서 A군은 2.86 ± 0.89에서 2.39 ± 0.77로 감소하였고 2.31 ± 0.88로 변동하였으며 B군에서는 2.41 ± 1.51에서 2.80 ± 0.95로 증가하였으며 다시 2.53 ± 1.03으로 감소하였다. C군에서는 2.25 ± 1.36이 2.82 ± 0.81로 증가하였으나 2.53 ± 1.13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대수술에서 투여된 수액의 구성은 환자 혈액의 희석효과와 전해질의 구성에는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말초조직의 산소 추출율은 사용된 수액에 의한 희석효과로 증가 하였다. 그리고 ΔPCO₂/C(a-cv)O2는 LR용액이 투여된 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것은 수액 주입에 의한 혈색소 감소 정도가 콜로이드가 투여된 다른 군보다 적어 ΔPCO₂/C(a-cv)O2를 감소시킨 것으로 추측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대수술에서 전신마취 중 사용되는 수액의 구성 성분이 혈액 내 전해질 및 삼투압과 말초 혈액 순환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n Serum Electrolytes, Osmolality, and Peripheral Circulation in Patients by the Composition of Used Fluids during General Anesthesia for Major Surger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연제택-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