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 0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Title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Multicultural mothers' parenting sty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of their children
Author
연민아
Alternative Author(s)
yeun, mina
Advisor(s)
두정일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다문화 가정 어머니와 일반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의 차이와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 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국적, 연령, 교육정도, 월수입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입국연수, 연령, 교육정도, 월수입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입국연수가 10년 이상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들이 6년 이하의 자녀들보다 사회적 능력 하위 요인 중 협조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서는 41세 이상의 어머니 자녀들이 다른 연령의 어머니 자녀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협조성과 전체 사회적 능력을 나타냈다. 그리고 교육정도에서는 대학원 이상의 자녀들이 다른 집단의 자녀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활동성을 보였고 월수입에서는 400만원 이상의 소득자 자녀들이 다른 소득 집단 자녀들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활동성을 보였고 100만원 미만과 100-200만원 미만의 소득자 자녀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협조성을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애정적 양육태도, 거부적 양육태도 및 자율적 양육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일반가정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활동성, 협조성 및 전체 사회적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를 밝혀 궁극적으로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장점과 잠재력이 계발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적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64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11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