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석탄회를 활용한 경량기포 CLSM의 압축강도 특성

Title
석탄회를 활용한 경량기포 CLSM의 압축강도 특성
Other Titles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Foamed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CLSM) using Coal Ash
Author
이혜진
Alternative Author(s)
Lee, Hye Jin
Advisor(s)
천병식
Issue Date
2012-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개발이 진행 중이다. CLSM은 자기수평성, 자기다짐성, 유동성, 인위적인강도조절, 시공 후 재굴착의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가지는 재료로서 공유수면 매립, 뒷채움 그리고 관거채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현재 CLSM에 관한 연구들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CLSM의 활용은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CLSM의 활용이 증가함에 있어서 CLSM 재료의 기초연구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중 석탄회를 활용한 경량기포 CLSM의 압축강도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일축압축강도는 구조물에 적용시 재굴착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며, 시험결과를 통해 경제성 및 효율성, 굴착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배합설계변수이다. 그러나 CLSM의 일축압축강도는 재령 28일 기준으로 적용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정량적인 일축압축강도값을 알기 위해서는 배합 후 일정시간이 지나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강도 고유동화재(CLSM)에 기포를 혼입하여 경량화시킨 경량기포 CLSM에 중점을 두어, 경량기포 CLSM의 압축강도 특성을 파악하였고, 슬러리를 28일까지 양생시킬 필요 없이 28일의 압축강도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일축압축강도와 관련된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경량기포 CLSM의 제작은 매립회(PA), 비회(FA), 물, 시멘트를 혼합한 슬러리에 기포를 주입하는 선기포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기포제는 고분자 기포제를 사용하였다. 배합비에 있어서 매립회와 비회의 비는 70:30, 50:50, 30:70으로 변화시켰고 함수비 변화는 26.5%, 28%, 29.5%로, 기포비는 2%, 3%로 하여 각각의 조건에 대해 일축압축강도 시험, 기포슬러리의 단위중량 시험, 겉보기 단위중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경량기포 CLSM의 재령별 일축압축강도 변화를 분석하였고, 단위중량(겉보기, 기포슬러리)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경량기포 CLSM의 7일 일축압축강도와 28일 일축압축강도와의 관계는 선형비례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논문에서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량기포 CLSM의 일축압축강도와 단위중량(기포슬러리, 겉보기)값 사이의 상관성을 관계식으로 제시함으로써 배합된 슬러리를 28일까지 양생시킬 필요 없이, 이들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28일의 일축압축강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현재 천연재료의 고갈로 인하여 폐기물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며 폐기물 재활용과 관련하여 석탄회 폐기물인 매립회량을 대량 활용하기 위하여 매립회를 활용한 저강도 고유동화재(CLSM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61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03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건설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