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 0

모 취업가정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 예술치료 프로그램 사례연구

Title
모 취업가정 아동의 초등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 예술치료 프로그램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adaptability of the children of the families with working mother to elementary school : Based on REBT counseling theory
Author
박한울
Alternative Author(s)
park, han wool
Advisor(s)
임윤선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고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모 취업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 취업가정을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이 늘어나고 있으나 가정 내의 엄마의 보살핌이 비교적 적은 모 취업가정 아동의 경우 심리적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또래와의 관계와 학교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모 취업가정 아동의 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REBT 상담 이론을 도입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REBT 집단예술치료가 아동의 학교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모 취업가정 아동의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에 대해 살펴보고 REBT 상담이론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변화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예술치료 프로그램의 치유적 기능이 REBT 상담 기법과 결합되어 프로그램 안에서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는데 나타나는 효과를 고찰해봄으로써 본 연구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를 명확히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S청소년 수련관의 5, 6학년 30명을 대상으로 두 타임으로 나누어 주 1회 50분씩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4회기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는 양적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질적 분석은 사전 검사시에 학교적응력이 가장 낮은 아동 2명을 선택하여 그림검사(HTP, KSD) 및 매 회기 참여 관찰지를 작성하여 실시하였고, 전체 30명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학교 적응력 검사 및 비합리적 신념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양적분석으로 결과의 유의미한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REBT 상담이론을 도입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모 취업가정 아동의 학교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교 적응력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으며, 비합리성 측정 검사에서는 하위영역인 인정에 대한 욕구, 개인적 완벽성, 비난 경향성, 문제회피, 완벽한 해결 영역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모 취업가정을 대상으로 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이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생각·감정·행동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집단 활동 안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와 수용력, 동질감을 느낄 수 있어 또래관계 향상 및 학교 적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집단예술치료가 활발히 연구되어 보다 전문적으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5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35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