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 0

초등 5, 6학년 영어검인정교과서의 놀이 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Title
초등 5, 6학년 영어검인정교과서의 놀이 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f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Author
김희란
Alternative Author(s)
Kim, Hee Ran
Advisor(s)
한문섭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부터 사용된 초등학교 5, 6학년용 검인정 교과서의 놀이 활동에 대한 활용 현황을 교사와 5, 6학년 학생들을 통하여 조사하고,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일치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놀이 활동을 활용한 초등 영어 수업의 교수‧학습적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의 놀이 활동에 대한 초등영어교사의 인식, 활용 실태 및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의 놀이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활용 실태 및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의 놀이 활동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얼마나 일치하는가?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21명과 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초등 영어교육의 놀이 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여 설문지를 작성 후, 교사용 설문지와 학생용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기에 학생들은 놀이 활동을 재미있어하고, 문답 놀이와 카드와 보드 놀이를 선호하였다. 하지만 학생들의 인식 수준에 비하여 놀이 활동의 난이도가 낮으며, 학습효과 역시 보통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교사들은 교과서의 재미있는 놀이 활동만을 활용하고, 교과서 외의 놀이 활동에 대한 활용도는 높았다. 게다가 놀이 활동 준비에 교사들은 부담을 느끼며, 자료 및 도구 준비에 어려움을 나타내었고, 교과서의 놀이 활동 부록자료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았다. 둘째, 학생들은 영어 수업시간 중 놀이 활동을 재미있어하고, 카드와 보드 놀이 활동을 선호하였다. 놀이 활동이 말하기 영역에 도움이 되며, 반 전체 형태의 놀이 활동을 선호하며 조별 활동 시 주로 영어를 사용하고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에만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의 부록자료를 버리는 경향이 높았으며, 영어로 듣고 말하기에 자신감이 없어 놀이 활동이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놀이 활동에 대한 인식 일치 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교사와 학생 모두 놀이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나, 교사들이 인식하기에 놀이 활동이 학생 수준에 맞지 않고, 흥미도가 낮으며, 학생들은 놀이 활동을 통하여 영어사용에 대한 자신감을 갖기가 어렵다는 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조별 놀이 활동 시 조 편성 방법에 대하여 교사와 학생은 실력이 우수한 친구와 그렇지 않은 친구를 섞어서 구성하기를 원하였으며, 놀이 활동 시 교사의 발화를 학생들은 대부분 알아듣는다고 인식하는 반면, 교사는 학생들이 교사의 발화를 반 정도 알아듣는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교과서의 부록자료를 대다수 활용하지 않고, 교사 역시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효과적이 놀이 활동을 활용한 초등 영어 수업이 되도록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한다. 첫째, 교사는 학생들이 놀이 활동을 통하여 영어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ICT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자료 혹은 소도구 준비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수업에 임하고, 수업 후 다양한 자료에 접근하여 복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각 교육청은 교사에게 놀이 활동을 활용한 연수 및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면 추후 실제 초등영어 수업에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52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8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