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 0

한국 특유 사자성어의 구조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특유 사자성어의 구조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Korean Characteristic Four-Word idioms' structure
Author
범혜매
Alternative Author(s)
fanhuimei
Advisor(s)
신중진
Issue Date
2013-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특유한 사자성어를 선정하여 문법 구조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들의 유래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사자성어는 대부분이 중국에서 차용되어 중국 사자성어와 비슷하지만 나름대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국의 사자성어는 중국의 사자성어를 받아들이기는 하였지만 한국의 사회 환경이나 역사 발전에 따라 한국식의 사자성어로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자성어도 만들었다. 우리는 한국에서 생성되고 중국에서 쓰지 않는 사자성어를 한국 특유의 사자성어라고 부른다. 본고에서는 한국 사람들이 스스로 만든 한국 특유의 사자성어를 뽑아서 그들의 어순 구조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서 그들의 유래도 밝히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 특유 사자성어의 목록을 분석한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한국사자성어대사전>, <표준국어대사전> 과 중국의 <現代漢語詞典>을 기본 문헌으로 삼고 비교 대조하여 연구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 특유의 사자성어의 어순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것을 통해 한국 특유의 사자성어 대부분은 중국어 어순으로 만든 것이지만 한국어 어순으로 만든 것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4장에서는 한국 특유 사자성어의 유래를 살펴보았다. 대체로, 한국문헌에서 비롯한 것, 한국 고유의 속담을 한자성어로 새롭게 만든 것, 그리고 한국 고유한자로 구성된 것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국 특유 사자성어에 대한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생한테나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 모두에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연구가 한•중교재의 편집, 한•중번역 및 한•중 성어사전의 편집에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341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19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